발달장애인 영양관리·디지털 기반 소통 강화
[농수축산신문=김진오 기자]
정부가 먹거리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 대응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도 예산안을 8122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이는 올해 7489억 원보다 633억 원(8.4%) 증가한 규모다.
이번 예산안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먹거리 안전과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 사업에 중점적으로 배정됐다. 아울러 재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지출 구조조정도 병행한 것이 특징이다.
전체 예산 8122억 원 중 ‘먹거리 안전과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관련 예산은 1871억 원이다.
주요 세부 예산을 보면 ‘농축수산물 안전관리’는 52억 원에서 78억 원으로 증액했다. ‘위생용품 안전관리’는 14억 원에서 16억 원으로 늘었다. 아울러 ‘온라인 식의약 안전관리’는 20억 원에서 30억 원으로 증가했다.
반면 ‘해썹제도 활성화’는 63억 원에서 56억 원으로 감액됐고 ‘국민영양 안전관리’는 36억 원으로 올해와 동일하게 편성됐다.
식약처는 기후 및 환경 변화로 인한 곰팡이, 패류 독소, 식중독균 등 식품 위해요소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해 위해요소 간 연관성을 파악하는 ‘위해요소 발생 예측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스마트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 활용한 식품안전관리 확산을 위해 희망하는 소규모 영세업체를 대상으로 스마트센서 설치 비용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발달장애인의 영양 상태 개선과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식이 섭취 현황을 조사하고 가정에서도 활용 가능한 식단과 식사 지침을 개발하는 등 맞춤형 영양관리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아울러 식의약품 이슈와 최신 트렌드에 대한 안전정보를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디지털 중심 소통 강화에도 나선다.
식약처 관계자는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 심의를 거쳐 확정되면 국정과제와 주요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국민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