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9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서 농산물 유통구조 개혁 방안 보고
스마트 농산물 유통구조로 전환 가격 변동폭 완화와 유통비용 절감할 것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 모습.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 모습.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농수산물 온라인물도매시장(이하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 농산물 유통구조 개혁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9일 열린 제41회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농산물 유통구조 개혁 방안을 보고했다.

대통령에게 농산물 유통구조 개혁방안을 보고하고 있는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대통령에게 농산물 유통구조 개혁방안을 보고하고 있는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송 장관은 이 자리에서 “농산물(채소류)의 경우 저장성이 부족하고 부패로 인한 감모도 심하기 때문에 유통이 어려운 특징이 있을뿐 만 아니라 유통구조 자체가 비효율적이라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문제는 국토 면적이 작고 가격 변동성이 크다보니 농산물 물가의 변동도 커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금의 농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을 밝혔다.

더불어 “농산물유통 경로가 공영도매시장 위주로 돼 있고 경매 구조에 따라 움직이다보니 도매시장 유통주체간 경쟁이 부족한 상태이며, 물가안정과 같은 공익적 역할도 상당히 미흡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송 장관은 “스마트 농산물 유통 구조로 바꿔 가격의 변동폭을 지금의 절반 정도로 완화하고 유통비용을 10% 이상 절감하겠다”며 “유통구조 자체를 온라인 도매시장에서 50%정도가 거래될 수 있는 구조로 완전히 전환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경매 중심의 유통단체를 대폭 축소하고 거래 방식을 온라인 중심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전환하되 기존 도매시장은 물류거점으로써 기능과 역할을 전환하고 거래 방식도 경매 방식에서 예약 거래 중심으로 바꾸겠다는 게 송 장관의 판단이다.

소비자와 관련해서는 투명한 가격 정보 제공에 정책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송 장관은 “소비자 입장에서 제일 중요한 게 가격 정보인데 아직까지는 만족할만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 농산물유통정보(KAMIS) 사이트를 통해 매일 소비자 가격을 제공하고 있지만 평균 가격만 제시하다보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혼란을 겪을 수 밖에 없어 아예 대국민 앱을 개발하려 한다”고 보고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주요 농산물에 대해서는 우리 동네 어디를 가면 얼마임을 알 수 있도록 투명하게 가격 정보를 제공하면 소매유통 단계에서 가격을 지나치게 높게 받거나 하는 일들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AI 활용 농수산물 가격 비교 플랫폼을 제안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AI 활용 농수산물 가격 비교 플랫폼을 제안하고 있다.

이 같은 송 장관의 보고에 이 대통령은 온라인 도매시장과 통합 농산물 가격정보 시스템에 큰 관심을 보였다.

특히 회의에 참석했던 하정우 대통령실 인공지능(AI) 미래기획 수석에게 농산물 가격 안정에 AI를 활용할 수 있는지 질문한 후 정부와 민간이 함께 투자해 ‘농수산물 가격 비교 플랫폼’을 만드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해 주목됐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