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임업인 단체와 간담회 마련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김호 농특위원장(앞줄 가운데)이 임업인 단체장들과 간담회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호 농특위원장(앞줄 가운데)이 임업인 단체장들과 간담회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는 지난 17일 김호 위원장 주재로 임업인 단체와 간담회를 마련, 새 정부 농정분야 국정과제를 설명하고 임업인의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국임업인총연합회, 한국산림휴양복지협회, 한국산림경영인협회, 한국목재산업단체총연합회, 한국산림기술인회, 한국목재칩연합회, 한국양묘협회, 한국밤재배자협회, 한국원목생산업협회, 한국임산버섯생산자단체연합회, 남북산림협력포럼, 한국조경수협회, 한국산림토석협회, 한국수목보호협회, 한국분재 조합이 참석했다.

농특위는 간담회에서 △국민 먹거리를 지키는 국가전략산업으로 농업 육성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농정 대전환 등 새 정부의 농업·임업 관련 국정 과제 내용을 참석자들과 공유했다.

이에 임업인 단체 관계자들은 △입목 재해보험 적용 등 농업에 준하는 임업세제 개선 △민간정원 활성화 △국산목재산업 활성화로 기후변화 대응 △숲관리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 강화 △버섯 원목공급 수종 다변화 △산림분야에 적극적 예산지원 △소외없는 임업인 지원체계 마련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박정희 한국임업인총연합회 회장은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녹화 성공국가로 이제 녹화에서 경영이 되는 숲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임업이 새 정부 농정 정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임업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정은조 한국산림휴양복지협회 회장도 “임도는 등산로, 산림레포츠로 활용되는 등 다양한 휴양·복지 기능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라며 “산림의 기능이 올바르게 인식될 수 있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호 농특위원장이 임업인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
김호 농특위원장이 임업인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

이에 김 위원장은 “농특위가 농산어촌 현장과 정부를 연결하는 가교로서 농산어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현장 정책 실행력과 거버넌스 기능을 강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