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희 의원
[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농촌진흥청이 보유한 농업인 등 16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확인됐지만 관리는 여전히 구멍투성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만희 의원(국민의힘, 영천·청도)는 농진청이 보유한 개인정보 유출사태 전반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 21일 이같이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농진청 등이 보유한 개인정보 48만여 건이 용역업체에 의해 무단 반출돼 해커 공격으로 다크웹에 유출된 사실이 지난 4월 확인됐다. 해커 공격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는 15만9405명으로 대다수가 농업인이다. 유출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성별, 집 주소, 집 연락처, 개인 연락처 등 기본정보뿐만 아니라 사업장등록번호, 농장명, 농장 주소, 농장 전화번호, 농장번호, 축산업등록번호, 축산업등록일, 과학기술인등록번호 등 민감 정보도 포함됐다.
이 의원은 이어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해 유출 경위 파악은 물론 제대로 된 대처와 관리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해당 용역업체는 과거 보안점검에서 별다른 지적을 받지 않았으며 개인정보가 담긴 저장장치에 미국 드라마나 음악, 사진파일 등 불필요한 자료를 뒤섞어 보관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국가 식량안보를 책임지는 농업인의 개인정보가 대거 유출된 초유의 사태 속에 경찰에 수사 의뢰조차 하지 않은 농정당국의 안일한 대응은 충격적”이라며 “농진청은 해당 용역업체에 대한 사법조치는 커녕 여전히 총 35억 원 규모의 시스템 관리 용역사업 4개를 맡기고 있다”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