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발전사업 준비과정 정부‧지자체 지원
사업 통한 수익 지역에 환원 예정
공모 통해 12월 대상 마을 선정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전력수요가 많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영농형태양광 시범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3일 전력수요가 많은 수도권에 대해 태양광 발전사업을 활용한 규모화·집적화된 영농형태양광 조성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농업인 소득 증대와 식량안보를 동시에 이룰수 있는 영농형태양광과 햇빛소득마을에 대한 제도화를 위해 다양한 계층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의견 수렴 결과 사업주체, 농지 허용범위, 시설규정, 전력계통, 주민수용성 등 제도 전반에 여러가지 시각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업·농촌의 태양광 제도화에 앞서 규모화․집적화와 함께 수익을 지역에 환원하는 모델을 접목한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사업 대상지는 현재 전력계통 문제가 없고 산업단지 등으로 전력수요가 높은 경기 수도권이며, 발전규모 1메가와트(MW) 이상으로 규모 있는 영농형 모델 2개소를 우선 조성할 계획이다.

대상 부지는 한국농어촌공사가 보유한 비축농지와 마을주민의 참여농지 등을 임차하는 방식으로 마련, 의무영농 등 영농형태양광 제도 취지에 맞도록 조성하고 이후에는 전담기관을 지정해 실제 영농여부 확인과 수확량에 대한 모니터링도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태양광 발전사업을 통한 수익을 마을공동체가 공유하도록 지역에 환원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공모를 통해 오는 12월 시범사업 대상마을을 선정할 계획이며, 발전사업 준비 과정부터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박해청 농식품부 농촌탄소중립정책과장은 “부지임대 뿐만 아니라 발전사업 등 사업 전반에 걸친 자문과 사업관리 등을 지원하고 현재 준비중인 햇빛소득마을 시범사업도 조속히 추진하겠다”며 “처음 도입되는 제도인 만큼 질서있고 안정적으로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화 과정에서 다양한 시범 모델을 활용하고 시범사업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제도와 정책에 반영해 시행 준비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