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휴양업 관련 상담 늘어...광범위한 산림경영, 충분한 사전계획·현장 체험이 관건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경기 지역은 서울과 수도권으로부터 높은 접근성과 관광인구로 산림서비스 산업을 바라보고 귀산촌을 택한 이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또 은퇴 후 수도권과 멀지 않으면서도 산촌의 삶을 즐기고 싶은 이들이 경기도 지역의 산림을 인생 제2막으로 삼으면서 귀산촌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가평군·양평군산림조합과 산림조합중앙회 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의 산림경영지도원들을 만나 경기도 지역 산림경영의 현황과 당부사항 그리고 발전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 은퇴 후 귀산촌을 꿈꾸는 은퇴자의 컨설팅 수요 높아
최근 경기 지역의 산림경영컨설팅의 수요는 전통적으로 인기 컨설팅 주제였던 임산물 재배보다는 산림휴양·관광 등 산림서비스산업으로 옮겨지고 있다.
9년차 전담지도원인 황성수 가평군산림조합 대리는 “지난달 18일 산의 날 산림조합중앙회의 상담부스를 방문해 주신 상담자는 다양했지만 특히 산림휴양업 관련한 상담이 많았다”며 “숲속야영장, 숲경영체험림 등 산림휴양업 관련해서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절차를 알려주고 상담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2023년 숲경영체험림 제도가 시행되면서 선대의 임업을 승계받기 위해 임업후계자가 되는 사례도 생기고 있다는 전언이다.
숲경영체험림은 일종의 작은 휴양림으로서 임업인이 임업에 종사하면서 동시에 숲·임업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부수입을 얻을 수 있는 제도다. 다만 제도에만 기대지 말고 분명한 수익모델을 고민해야 한다는 게 황 대리의 조언이다.
은퇴 이후 임업을 꿈꾸는 사람들도 산림경영지도원들을 많이 찾아오고 있다.
양평군산림조합의 전담지도원인 황효근 과장은 “경기도, 특히 전원단지가 있는 양평은 은퇴 후 귀촌을 생각하는 분들이 많아 매년 산림경영컨설팅을 위해 찾아오는 분의 30%는 퇴직 후 산림경영을 위해 찾아오는 것 같다”며 “다만 산지 구매 시 경매를 통해 사전조사도 안 하고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 충분히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할 것을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령 도로가 설치돼 차가 진입할 수 있어야 벌채를 비롯해서 여러 가지 사업을 하기 수월한데 도로가 연결 안 된 맹지를 구매하는 경우도 있어 꼭 확인이 필요하다는 당부다.
임업 창업에 있어 두 전담지도원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건 귀산촌을 준비 과정에서 사전에 산을 누비며 살아보고 공인된 교육기관에서 임업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황성수 대리는 “은퇴 후 산림경영을 희망하는 분들 중에서 막연하게 산림경영지도원을 찾으면 답이 있겠지 생각하고 오시는 분들이 있는데, 산림경영의 범위는 워낙 광범위하기 때문에 미리 대략적으로라도 계획과 목표를 세우지 않으면 상담도 큰 방향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친다”며 “귀산촌을 희망하는 분들이 산림경영과 농산촌 생활에 적응 못하는 경우가 많아 2~3년은 살아보면서 산을 많이 다녀보고 투자 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고 전했다.
황효근 과장도 “임업은 농업처럼 심으면 바로 결과가 나오는 산업이 아니라 어렵다”며 “산림조합중앙회뿐 아니라 산림청이 인정한 교육기관들을 소개하면서 다각도로 다양한 소식과 정보를 습득하도록 권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 드론 운용 능력 제고로 산림경영지도 품질 제고
한편 경기권역 산림경영지도원들은 드론 운용 능력을 높이면서 산림경영지도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있다.
박진규 산림조합중앙회 서울경기인천지역본부 운영지원팀 과장은 “지난해 전담 지도원의 학습연구회를 운영하면서 드론을 통한 산림측정을 학습하고 실습해봤다”며 “내년에도 지도사업의 주안점을 드론 운용에 두고 있으며 라이다(LiDAR) 교육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도사업에서 드론 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는 지난 여름 재난 상황에서 드론의 효용성을 체감했기 때문이다.
박 과장은 “지난 여름 가평 수해 피해 당시 긴급복구사업의 예산을 확보하려면 우선 피해규모를 일주일 안에 조사해야 하는데 산사태 등으로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는 곳도 드론을 활용하면서 하루만에 조사와 산정을 마쳐 6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술적인 부분뿐 아니라 제도적인 접근도 병행하고 있다. 서울경기인천 지역 산림조합들은 1년에 4차례 ‘임업지역발전협의회’를 진행하면서 지자체 조례 신설 혹은 개정을 통한 임업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