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앞으로 10년간 추진할 농업농촌종합대책에 여성농업인이 주요 정책 대상자에서 빠져 정책의 실효성이 낮을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9일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주관으로 개최된 `여성농업인정책 대토론회''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이같이 주장했다.

박민선 농협대학 교수는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여성농업인 육성정책''주제발표를 통해 “정부가 마련한 농업 농촌 종합대책은 여성농업인을 주요 정책 대상자로 포함시키지 않은 미완의 대책”이라며 “여성농업인의 다양한 역할을 고려한다면 여성농업인이 포함돼 있지 않은 종합대책의 정책적 실효성도 그만큼 낮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교수는 이에 따라 “종합대책이 제시하고 있는 각종 정책대상자의 선발과 관련 여성농업인이 포함돼야 할 목표치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여성우대원칙이 지켜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경미 농촌진흥청 농업연구관도 `여성농업인에 정책적 지원 강화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여성은 농업인력의 다수로 성장해 대부분이 공동경영자 내지 ‘파트너’로서 농업노동과 가구소득에 기여하고 있지만 사회적으로 적절한 지위를 부여받지 못하고 있다”며 “여성이 농업에 종사하면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지위를 인정하고 농업경영에 좀 더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연구관은 이와 관련 “농업인의 개념이 농가와 혼용 사용되면서 `농가=농업인=세대를 대표하는 경영주=주로 남성농업인''이라는 개념이 일반화 됐다”며 “필요하다면 농업인이라는 용어를 `남녀농업인''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