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남해에서 20여년간 직접 농사를 지은 농군에다 농민시위를 직접 진두지휘했던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 강성발언을 즐겨했던 농림해양수산위 소속 국회의원이었다는 점에서 박장관이 앞으로 어떻게 농정을 꾸려나갈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쌀협상 국회비준과 DDA농업협상 등 첩첩이 쌓여 있는 현안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이며,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농업계를 어떻게 회생시킬 것인지 주목되고 있다.
# 구조조정보다 `회생''먼저
박 장관은 지난 6일 취임식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농촌은 나이들어 힘빠진 어머니와 같다”고 표현하고 “시골노모를 모시듯 범국민차원에서 농촌회생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농촌에 가장 필요한 건 `희망''을 갖는 것이며 이를 위해 `발전''보다는 `회생''이 화두가 돼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박 장관은 이와 관련 농업은 강제로 구조조정할 산업이 아니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장관은 “규모화가 기본 방향이지만 한편으로 대규모 영농을 유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소규모 농민들을 위한 정책을 추진, 양쪽의 균형을 맞춰나가야 한다”는 소신을 밝혔다.
전업농도 중요하지만 중소농 대책에 대한 보완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으로 다양한 보완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장 농정'' 강조
박 장관은 취임이후 곳곳에서 `현장농정''을 펼치겠다는 소신을 밝혔다.
박 장관은 취임식에서 “현장에서 살아 움직이는 정책실현을 위해 공무원이 직접 현장을 찾아가 문제를 파악하고 대안을 찾는 현장 농정과 정책에 대해 책임지는 책임농정을 구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회 의정활동당시 경남 함양군 토론회까지 총 10번의 `농촌현장 민생투어 토론회''를 개최하면서 농촌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어 온 만큼 현장농정에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현안 정책개발 과제
이와 함께 농민단체들이 줄기차게 요구해 온 식량 자급률 목표치를 법제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또 수입쌀 증가와 소비 감소로 날로 늘어나고 있는 쌀 재고문제는 북한 원조를 통해 해결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농민단체장 시절부터 줄기차게 강조해 왔던 농가부채 문제와 직불제 확충 등의 소득안정정책도 보다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한국농업경연인중앙연합회 회장 시절인 2000년 `농가부채 특별법 제정 전국농민대회’를 개최해 농가부채의 심각성을 사회적 이슈로 부각시킨데다 지난해 3월에 `농림어업인삶의질향상특별법’이 제정되도록 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농협개혁문제는 한농연 회장시절부터 줄기차게 주장해 온 시군지부 철폐 등이 주요 개혁과제로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농림부 힘 받나
박 장관은 소위 실세로 불리는 `농업계 3인방'' 중 1명으로 나머지 2명인 이봉수 마사회 부회장과 김인식 청와대 비서관과 호흡을 맞추고 있는데다 노무현 대통령과 재야 시절부터 활동을 함께 해 온 `동지''였다는 점에서 모처럼 농림부에 힘이 실리지 않겠냐는 기대를 낳고 있다.
또 박 장관 스스로 `추진력은 있는 사람''이라고 자평하고 있는 만큼 그동안 타부처에 밀려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농림부가 모처럼 탄력을 받지 않겠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