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7일 축산관련단체장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갖고 가축전염병 사전예방을 위해 농가 홍보 등 축산관련단체의 협조를 요청했다.

박종명 검역원장은 “현재 우리나라는 구제역 청정국을 유지하고 있지만 주변국가에서 계속 발생되고 있어 유입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며 “강도 높은 국경 검역을 실시하고 있지만 농가의 자율방역이 가장 우선 순위”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이에 따라 “농가의 자율방역의식 향상을 위해서는 축산관련단체의 지도와 홍보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검역원도 구제역 특별방역대책의 일환으로 방역대책상황실을 설치해 24시간 비상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영열 대한양돈협회장은 “시범사업인 이동가축 방역관리 확인시스템의 경우 신고한 농가들만 불이익을 받는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며 “이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신고농가에 대한 보호 등 다양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석우 농협축산경제 대표이사는 “오래된 축사 주변에 병원체가 잔류하고 있어 전염병 발생농가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있다”며 “이들 축사에 대한 효율적인 방역방법 등을 제시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또 동물약품 사용과 관련해 수의사 처방전 도입에 대한 단체장들의 질문에 검역원장은 세계적인 추세로서 수의사 처방전은 도입돼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