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 한우자조활동자금의 거출을 앞두고 사무국 설치, 예산안 마련 등 막바지 준비작업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17만여명에 달하는 한우농가 모두가 참여하는 자조금사업이 되기 위해선 대농가 홍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자조활동자금(이하 자조금) 관리위원회는 오는 15일 사무국 설치를 위해 사무국장과 직원 모집을 위한 면접을 갖는 등 빠른 시일내에 사무국을 설치하고 예산안을 마련해 28일 대의원 총회를 거쳐 내달 1일부터 자조금 거출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또 당초 관리위원 선임을 거부했던 위생처리협회가 관리위원들의 적극적인 도축장 설득으로 자조금 사업 전반에 대한 협조의사를 밝히고 있어 한우자조금사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그러나 15일 앞으로 다가온 한우자조금 거출에 직접 당사자인 한우농가를 대상으로 하는 자조금 거출 시기와 방법 등의 홍보가 필요한 실정이지만 이 부분은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대농가 홍보의 필요성은 자조금 대의원 선거과정에서 나타난 바 있어 자조금 거출시 발생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한우농가를 대상으로 하는 자조금 홍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우자조금 대의원 선거는 농가사육마리수로는 133만345마리 가운데 94만2212마리가 참여해 70.8%의 참여율을 보였지만 농가는 17만793농가 중 6만885농가가 투표에 참여해 35.6%의 투표율을 보여 대부분의 시·군이 사육마리수로 유효투표 결정이 이뤄졌다.

이에 따라 한우농가들의 자조금 이해도는 대농가와 한우협회 소속농가 중심으로 높은 반면 사육규모가 적은 농가들은 크게 미흡해 이들 농가에 대한 자조금 홍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자조금 거출이 이뤄지지 않아 예산이 없는 상태로 대농가 홍보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정부와 농협중앙회, 전국한우협회 모두가 한우자조금 도입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만큼 대농가 홍보차원의 자금확보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