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원유량 및 집유직결체제 전환 건이 낙농진흥회 조정협의회에서 낙농산업발전대책협의회로 토스됐다.
낙농진흥회는 지난 18일 서울 서초동 낙농진흥회 회의실에서 제 4차 기준원유량 조정협의회를 열고 두 안건 모두 중장기 낙농산업 발전대책의 틀 안에서 논의돼야 한다는 데에 참석자들의 의견을 모으고 이같이 결정했다.

주요 현안으로 다뤄졌던 진흥회 농가들의 기준원유량 조정건은 중장기 낙농산업 발전대책의 틀 안에서 원유 수급상황을 고려하되 유업체 소속농가들보다 손해를 보지 않는 차원에서 조정키로 했다.

이에 따라 진흥회 농가들의 기준원유량 문제는 집유직결체제 문제 및 전국 단위의 표준화된 쿼터관리 문제와 병행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송광현 농림부 담당사무관은 “낙농산업발전대책협의회를 조속한 시일 내에 열고 이보다 앞서 관계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해 합리적인 수급 방안을 효율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장기 발전대책의 핵심은 원유 수급균형에 있음을 주지하고 있다”고 밝힌 후 “낙농업계 전반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제도를 모색하고 이같은 중장기 발전방안을 토대로 쿼터 표준화, 합리적인 원유가격 산정체계 등이 논의돼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낙농산업발전대책협의회는 지난 2003년 단기적인 원유수급균형을 위해 실시한 대대적인 원유생산감축 정책이 실시된 직후 중장기적인 산업발전대책을 세우기 위해 조석진 영남대학교 교수를 협의회장으로 소비자단체, 정부, 유업체, 조합, 농가대표 등 15인으로 구성됐다.
최근 낙농육우협회에서 집유조합장과 낙농현안 문제를 논의키 위해 만든 낙농발전대책협의회와는 구분되며 낙농에 대해 전문지식을 갖추진 못한 위원이 상존하는 등의 원인으로 의사결정이 지지부진하다는 평을 받은 바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