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신축산회관 건립을 위한 5개 단체(종축, 낙농, 양계, 양돈, 한우)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신축산회관건립추진위원회는 지난 20일 종축개량협회 상담실에서 회의를 갖고 신축산회관 부지선정, 공동등기에 관한 문제를 오는 6월까지 마무리 하기로 결정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키로 했다.
위원회는 당초 경기도 인덕원 지역에 신축산회관 설립을 위한 부지를 확보했으나 이 지역이 일반공업지역으로 묶여 업무용 빌딩 건립이 불가능해 수도권 지역의 새로운 부지선정에 착수키로 했다.
또한 현재 축산회관에 입주하지 않은 단체를 중심으로 한 제2의 축산회관 건립이나 건물매입도 고려하고 있다.
아울러 신축산회관의 5개 단체 명의의 공동등기 협약을 지난해 12월 체결했으나 입주 후 나머지 단체들의 법적인 권리와 의무 사항이 문제가 될 소지가 있어 각 단체장들의 동의와 협조를 얻어 회관 건립에 가속도를 붙인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단체장들은 “모든 단체의 이해관계만을 내세운다면 신축산회관 건립은 더욱 힘들어 질 것”이라며 “공동의 이익과 목표를 위해 서로 조금씩 양보하는 미덕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5개 단체의 축산회관 건립에 가속도가 붙은 데에는 정부로부터 부지매입을 위해 지원받는 마사회 적립금 30억원의 사용기한이 오는 12월에 만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늦어도 5월까지는 부지선정을 마쳐야 지원금 30억원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30억원의 지원금으로 수도권 지역의 부지를 매입할 수 있는가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5개 단체장들은 일정 부분 자부담을 해서라도 신축산회관 건립에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
남호경 축산관련단체협의회장은 “현재는 부지선정이 가장 시급한 문제다. 이 문제가 해결되면 신축산회관 건립이 연내에 이뤄질 수도 있다”며 “축산인들의 결집된 의지를 모아 신축산회관 건립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농림부 관계자는 “신축산회관 건립을 위해서는 부지선정과 함께 5개 단체외에 다른 단체에서 잡음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며 “이에 대해 축산관련 단체들의 협의가 이뤄진다면 정부에서도 지원을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 기자명 김영민
- 입력 2005.04.27 10:00
- 수정 2015.06.22 16:12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