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된 선정기준은 유량평균 1만kg이상·산차 2.7산 이상·번식간격 435일 이하·체세포수는 20만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며, 지난달 처음 적용돼 선정된 낙농가는 전체 검정농가의 1% 미만인 35농가였다.
이희철 부장은 “양에 치중했던 기존의 방식으로는 소비자들의 관심사인 청정 우유 생산체계를 갖출 수 없다”고 전제한 후 “유질과 젖소의 장수성을 함께 관리하는 경영이 정착돼야 친환경 낙농업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 부장은 또 기존의 유량에 산차·번식간격·체세포 관리 등 낙농관리 전반에서 이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목장을 선발함으로써 낙농가들의 젖소관리를 유량 위주에서 종합적 관리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