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루세라병의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선 살처분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예방 백신 접종이 필요하지만 접종 대상 등에 대해선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농림부가 지난달 28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 회의실에서 개최한 소부루세라병 방역대책 실무자협의회에 참석한 각 시·도 방역담당자들은 소부루세라병 방역 강화이후 발병농장 급증으로 살처분만의 정책은 한계가 있어 예방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백신 접종 지역 및 대상 등에 대해선 관련협회와 학계, 시·도 담당자들이 엇갈린 의견을 보여 실제 백신 접종이 이뤄질지에 대해선 방역 전문가회의와 농가의견 수렴 등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살처분 보상금 지급 지연 및 환경오염 우려에 대한 대책 마련과 검진대상 확대와 발생농장 증가에 따른 검사인력의 부족, 반복 발생농가에 대한 효과적인 방역 대책마련 등이 시급히 해결돼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이외에도 소 수집상·중개상 및 농가 등에 대한 방역관리를 강화하고 가축시장 및 도축장에 출하되는 수소까지 검사증명서 휴대 확대, 신속한 검사를 위한 채혈·보정요원 확보 및 지원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