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안정을 위해 노지채소의 적정 재배면적의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농협중앙회는 지난달 30일 전북 고창 선운산 유스호스텔에서 이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수급안정사업 활성화를 위한 열린토론회를 개최했다.

임채성씨는 “농사를 지을수록 농업인의 빚은 늘어나고 있는데다 최저보장가격 제도의 지원도 적다”며 “수급안정을 위해 농업관측을 통한 사전적 면적조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수 고창 부안면 상담소장도 “적정생산에 필요한 주산지별 면적배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수원씨는 “고창지역 무는 황토 토질에서 재배돼 제주산보다 품질이 좋은데도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의 농협 공판장의 무·배추 취급 규모가 적어 아쉽다”며 “농협의 판매기능이 좀더 확충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해진 고창 공음조합장은 “노지채소의 경우 정부에서 최저보장가격을 지원해줘야 하며 전국의 김치공장과 연계한 농가소득 지지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춘옥 부안면 농민회장은 “농협과의 계약과 출하조건은 일반 시장출하보다 까다롭다”며 “농업인의 안정적 영농을 위해서 최저보장가격의 보장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홍성필 농협중앙회 원예부장은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농업관측을 토대로 정부와 농협중앙회에서 산지폐기를 실시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계약농가의 소득보장을 위해서는 농협과 농업인의 신뢰가 바탕이 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