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소모성질병이 농장의 가장 큰 골칫거리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차원의 돼지 질병관리센터의 필요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양돈 현장의 수의사들과 농가들은 축산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양돈산업의 가장 큰 문제가 되는 질병을 관리할 수 있는 민간차원의 진단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정부기관인 수의과학검역원에서는 철저한 질병관리와 검사를 표방하고 있지만 농가들은 크게 수긍하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다.
일례로 지난해 11월 제주도에서 발생한 돼지콜레라 항체 양성반응과 관련해 사료내 오염이 주 원인이라는 발표에도 도내 양돈농가들은 정부의 발표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또한 농가들은 검역원에 질병 의심축의 시료를 채취해 의뢰하기도 불안하다. 검사결과 법종전염병으로 확인되면 이동제한 등의 불이익을 받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실에 맞지 않는 법 적용과 농가와의 신뢰에 금이 간 상황에서 민간차원의 전문적인 질병관리센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현장의 수의사들은 “지난 2년동안 복합질병이 급증하고 있지만 실태파악 조차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며 “민간차원의 질병관리센터를 운영해서라도 질병발생의 원인과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진길부 도드람양돈농협 조합장도 “소모성 질병으로 인한 피해액이 급증하고 있으며 미래의 피해액까지 고려한다면 농가들이 자금을 모아서라도 종합적으로 진단·예방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기구의 설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민간차원의 질병관리센터의 설치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현실에 맞지 않는 법제도부터 시급히 정비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들은 또 소모성질병 퇴치를 위한 큰 밑그림 등 운영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서지 않는 질병관리센터가 자칫 기구만 더 늘릴 수 있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창식 대한양돈협회 이사는 “민간차원의 질병관리센터의 취지는 좋지만 행여 발생하는 오판·오진의 경우 책임은 누가 질 것이냐”며 “현재 검역원, 가축위생시험소, 방역본부 등 3개의 방역기구를 하나로 묶는 방역청과 같은 통일된 시스템 구축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기자명 김영민
- 입력 2005.07.04 10:00
- 수정 2015.06.22 19:38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