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앞으로 위생적인 사료생산에 정책을 집중하면서 사료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업계 자율적인 구조조정 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석희진 농림부 축산물위생과장은 지난 14일 단미사료협회가 서울 서초동 소재 호텔센트로에서 개최한 `친환경축산물 생산을 위한 사료의 이용·개발''주제의 국제심포지엄에서 `사료산업 정책방향'' 발표를 통해 이같이 피력했다.

석 과장은 “정부는 올해 도입한 사료공장의 HACCP인증 처럼 앞으로 사료정책 방향은 위생관리 부분에 초점을 맞춰나갈 것”이라며 관련업계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올해 도입한 사료공장의 HACCP인증은 현재 농협사료, CJ, 삼양사, 퓨리나, 카길 등 9개 사료공장이 받았다.

그는 “사료 안전성 강화 일환으로 지난 5월부터 관리대상 유해물질도 8종에서 12종으로 확대했으며 관리대상농약도 17종에서 27종으로 늘렸다”고 밝혔다.

특히 “사료내 혼입가능 동물용의약품의 범위도 지난 5월부터 53종에서 25종으로 감축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줄여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석 과장은 “사료에 대한 안전성이 강화되면서 공장별로 추가되는 비용에 대해서는 시설개선자금이나 사료원료구매자금 등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올해 사료공장 HACCP적용을 위한 시설개선자금으로 217억4500만원, 사료원료구매자금은 303억88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는 또 안정적인 사료가격을 위해서는 사료가격 연동제 실시나 사료의 제조원가 공개 유도 등 업계 자율적인 구조조정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