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조합 집유 담당 실무책임자들이 정부가 제안한 조합중심 집유 직결체계 개편안의 실현가능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은 개편안 대상이 현 낙농진흥회 물량에만 국한될 경우 낙농업계 분열과 현재 조합 역량으로는 생산자의 대 유업체 거래교섭력이 크게 부족해 전체물량을 개편안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국 20개 낙농관련조합 가운데 17개 조합 집유업무 담당 전·상무급 책임자들은 지난 15일 충남 대전 소재 대전충남우유 본소 회의실에서 모임을 갖고 정부의 집유체계 개편 안에 대해 이같이 지적하고 정부안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동안 집유체계 개편안에 보완할 점이 많다는 지적은 한국낙농육우협회를 중심으로 이뤄졌으나 새로 바뀔 집유체계 주역인 낙농조합 집유 담당 실무책임자로부터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농림부는 이에 대해 “2006년말까지 생산지 중심 자율 수급체계 구축을 위한 직결체계 전환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며 “직결체제 전환 충격을 완화키 위해 낙농진흥회 물량부터 적용해 점차 확대하는 것을 고려 중이며 조만간 낙농산업발전대책위원회를 통해 공론화 절차를 거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날 참석자들은 “낙농진흥회 물량에 대해 우선 실시할 경우 유업체가 조합 직결 물량을 늘리겠느냐”며 “국내 생산 원유 전량을 대상으로 한다는 전제가 없으면 현 제도의 반복에 그치고 집유처별 농가간 반목만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병대 평택축협 집유소장은 “쿼터를 업체로부터 일방적으로 통보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우롱당할 가능성이 크다”며 “생산자 거래교섭력을 높일 수 있는 묘안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낙농관련조합은 오는 26일 조합장협의회를 열고 이들 의견을 재검토 낙농산업발전대책협의회에서 피력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