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합 중심 집유 직거래 체계 개편안을 오는 9월중 확정짓고 빠르면 11월부터 낙농진흥회 농가의 직거래 전환을 시작해 2006년 12월까지 완료할 방침이라고 밝혀 관련업계의 대응이 주목된다.

지난달 29일 서울 양재동 소재 낙농진흥회 회의실에서 열린 2005년도 제 1차 낙농산업발전대책협의회에서 농림부는 지난 5월 강기갑 국회의원실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기 제시된 조합 중심 집유 및 수급체계 개편방향 안을 재차 밝히고 이같은 향후 추진계획을 제시했다.

농림부의 입장은 지난 5월 개진된 `낙농조합을 수급조절 주체로 육성하며 원유거래방식을 기존 농장인수도가 아닌 유가공장 문전도 인수로 전환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지난 5월 개진된 의견과 같으며 구체적인 개편방안과 향후 일정이 추가된 정도다.

추가된 내용은 낙농진흥회 농가부터 전환을 시도하며 전국단위 원유수급조절을 위한 낙농위원회(가칭)를 생산자 및 유업체 대표, 학계 인사 등 15인 내외로 구성하고 2007년 출범을 목표로 낙농진흥법 등 관계법령 개정을 추진한다는 것.
낙농위원회 사무국 역할을 할 낙농진흥회의 기능도 낙농유업정보 수집 및 분석, 수급예측 자료 작성, 전국 쿼터 총괄관리 등으로 명문화됐다.

다만 변수는 가공조합을 비롯한 조합측의 대응이다.
낙농육우협회측은 집유체계 개편 안 자체보다 집유검사비용을 농가가 부담해야 되는 문제와 검사공영화 확보문제에 대해 보완책을 요구하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고 유업체측도 대체로 이견이 없으나 아직까지 침묵하고 있는 가공조합측이 현실적인 문제로 반발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집유체계 개편과 관련 낙농진흥회 농가에만 해당되는 것에 그치게 되면 지금 상황의 반복에 그친다며 전국단위 수급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나
농림부 안에 따르면 서울우유, 부산우유 등 국내 집유물량의 상당부문을 차지하고 있는 가공조합이 개편체계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집유업무와 가공업무를 분리해야 한다.

이와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 원유 수급체계 특성상 농가가 가공업무를 놓은채 유업체와 거래교섭력을 갖기도 힘들고 이들 조합원이 가공업무 분리를 찬성할 가능성도 희박하다”며 “현실적으로 문제가 있는만큼 추후 수급조절 주체로 명시된 조합 특히 가공조합의 반응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농림부 방침에 따르면 집유체계 개편안은 다음달 내 개최될 세미나와 관련단체 실무자 워크숍을 통해 확정되고 여건이 허락되는 낙농진흥회 농가부터 직거래 전환을 시작해 내년 12월까지 완료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