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송아지 생산을 위한 수정란 이식마리수가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한우 송아지값이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젖소 농가의 우유 쿼터제 실시에 따라 젖소 수란우에 한우 수정란 이식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가 전국의 국·공립연구기관, 대학, 민간시술소 등 246개 기관에서 지난해 실시한 수정란이식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우와 젖소 수정란이 2만7966마리의 수란우에 이식됐다.

특히 전체 수정란 이식의 99%인 2만7703마리 수란우에 한우 수정란이 이식됐으며, 이 가운데 젖소 수란우 2만6727마리에 한우 수정란이 이식됐다.

이 같은 한우 수정란 이식마리수는 2002년도와 2003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나 각각 236%, 56% 증가했다.

수정란 생산은 능력이 우수한 한우와 젖소에서 2570개의 체내수정란을 채취해 2002년과 2003년보다 각각 195%, 39%가 증가했으며, 이 중 한우 수정란은 1901개로 74%를 차지했다.

수정란 이식의 수태율은 체내 수정란이 2003년보다 35%에서 44%로 증가했고 체외수정란도 31%에서 37%로 늘어났으며, 수정란이식후 정상적인 송아지 분만까지 유산과 사산율도 2003년 24%에서 2004년 12%로 급감했다.

손동수 축산연 가축유전자원시험장 수정란 연구팀장은 “한우에서 채취한 수정란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혈청을 사용하지 않은 한우 체외수정란의 배양으로 양질의 수정란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