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싣는순서〉
1. 중국 수산물 무엇이 얼마나 수입되나
2. 중국수산물 수입급증 요인은
3. 중국 수산물 검사실태와 향후 개선 방향
4. 국내수산물안전대책
올 한해(7월말누계기준) 우리나라가 중국에서 수입한 수산물은 28만8165톤, 5억5460만2000불어치에 달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의 24만9314톤, 4억8100만5000불보다 물량은 3만8000여톤, 금액은 7359만불이나 증가했다.
중국의 수산물 수출 평균 단가는 kg당 2.9달러로 전년보다 10.3%올랐는데 활어와 두족류제품이 각각 37.7%, 16.6% 대폭 오른 반면 신선냉장 수산물은 10.6%하락했다.
중국에서 주로 수입되는 품목은 장어, 미꾸라지, 잉어, 자라 등을 포함해 총 700여가지에 달한다.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수산물중 물량이 제일 많은 품목은 까나리지만 금액면에서는 그다지 높지 않다.
중국에서 두번째로 많이 수입되는 품목은 조기로 한해(7월말누계기준) 3만6450톤에 달하며 금액은 8억5280만불에 달하고 있다.
갈치도 많이 수입돼 1만6383톤 4177만3000불,낙지는 1만5321톤, 3682만불어치가 수입되고 있다.
여기에 비해 중국의 지난해 수산물 교역은 100억 달러 수준으로,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산물 수입량은 일본과 미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2004년 중국 수산물 교역량과 금액은 각각 540만6000톤, 102억 달러였는데 이 중 수출량과 금액은 242만톤, 69억7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각각 15%, 27% 늘었다.
중국의 수산물 교역량은 1978년 중국이 개방정책을 실시한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개방 직후인 1980년도에 수산물 총 무역규모는 금액 기준으로 약 4억달러, 물량 기준으로 10만톤에 불과했으나 2003년도에는 79억 7000만달러, 443만톤에 달해 23년간 금액기준으로 20배, 물량 기준으로 44배 이상 증가했다.
1990년대 이후에도 중국의 수산물 수출입 규모가 빠르게 증가해 중국이 세계 수산물 시장에 차지하는 위상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수산물 무역뿐만 아니라 수산물 생산과 소비 모두 급증하고 있어서 세계의 많은 수산 전문가들은 중국이 향후 세계 수산물 시장의 흐름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국으로부터 수산물 수입이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