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브랜드에 편입될 수 없는 영세규모 농가는 브랜드 고기 생산을 위한 밑소 공급 기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제기됐다.

석희진 농림부 축산물위생과장은 지난ekf 28일 축산물브랜드경진대회 및 경진대회 행사 일환으로 코엑스 본관 그랜드 컨퍼런스홀에서 한국동물자원과학회와 농협중앙회 공동으로 주관한 ‘축산물브랜드 전문가 초청 국제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다.

석 과장은 ‘축산물 브랜드 육성정책방향’ 발표를 통해 “내년까지만 신규브랜드를 선정해 지원할 것”이라며 “이후 정부자금은 기존브랜드가 규모를 늘리거나 군소브랜드가 기존브랜드에 흡수 합병될 때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에 따라 “브랜드에 편입될 수 없는 영세규모 농가는 밑소를 공급하는 기지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도 이를 위해 자금이 필요하다면 브랜드고기 생산을 위한 밑소역할을 하는 농가에 장려금 등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