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순환농업의 활성화를 위해 우수 품질의 퇴액비를 생산하는 업체나 조직이 집중적으로 육성·지원될 전망이다.
이상철 농림부 자연순환농업팀장은 지난 2일 충남 논산시 농업기술센터에서 개최된 자원순환농업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서 “퇴액비의 유통활성화를 위해 우수 퇴액비 생산유통업체를 발굴해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과거 축산농가 지원 중심에서 벗어나 가축분뇨 퇴액비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까지 정부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 팀장은 또 “가축분뇨 품평회 개최도 고려하고 있으며 우수업체에 대해서는 포상과 홍보를 병행해 건전한 퇴액비 유통업체를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이 팀장의 계획에 따라 자연순환농업팀은 향후 지자체의 가축분뇨 이용 활성화를 높이기 위해 퇴액비의 생산·유통·사후관리·실적 등을 평가해 선별적으로 차등 지원하는 방안도 모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무분별한 환경개선제의 난립으로 인한 효능검증이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 이 팀장은 “효능이 검증되지 않은 환경개선제 난립은 분명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향후 축산연구소와 같은 검증기관을 통해 환경개선제의 효능검증체계를 구축하려는 복안이 있다”고 말했다.
이는 법을 제정해서라도 무분별한 환경개선제 시장을 일정 수준 정리해 나가겠다는 의지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오인환 건국대학교 교수는 “상당히 환영할 일이다”며 “검증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가 부족할 경우 대학과 연계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