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를 기점으로 확대됐던 남은음식물 사료화 정책이 생산 위주에서 앞으로는 위생부분에 포커스가 맞춰지면서 생산업체나 사용농가 모두 정예화될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소장 윤상기)와 한국폐자원사료화학회(회장 유동준) 공동으로 지난 10일 경기도 수원소재 축산연구소 대강당에서 열린 ‘폐자원 재활용 방안과 이용기술’에 관한 심포지엄<사진>에서 이같은 의견이 제기됐다.

신총식 환경부 생활폐기물과장은 ‘음식물류폐기물의 재활용 정책방향’ 발표를 통해 “기존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은 대부분 사료화 또는 퇴비화로 추진했다”며 “그러나 앞으로는 지자체의 지역 여건에 맞게 사료화나 퇴비화는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 과장은 “사회적 경제적 제반조건 등을 감안해 음식물류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기술을 개발해 시스템을 다양화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조정래 농림부 축산물위생과 담당사무관도 ‘사료품질 및 안전성 관리정책’ 발표에서 남은 음식물 사료화 추진방향은 남은음식물 사료 제조업체 및 자가급여 농가에 대한 관리강화라고 밝혔다.

그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 사료화는 필요하나 일부 생산제품은 위생상태가 불량한 환경에서 만들어져 가축에 급여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사무관은 “남은음식물사료라도 위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는다”며 “그러나 비위생적으로 처리돼 폐기물처럼 관리되는 것들에 대해서는 단호히 단속해야 한다”고 농림부의 입장을 밝혔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이외에도 그동안 연구검토된 폐자원의 안전성 및 효율적인 사료화 이용기술 등도 발표됐다. 김선희

△사진설명=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와 한국폐자원사료화학회 공동으로 지난 10일 경기도 수원소재 축산연구소 대강당에서 ‘폐자원 재활용 방안과 이용기술’에 관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