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의 목우촌 자회사안을 반대하며 명찬동 축협중앙회 노조위원장의 단식과 노조 조합원들의 농성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1일 축산경제 집행부와 시도축협운영협의회장·이사 조합장들 간의 간담회가 개최됐다.
▲ 축산경제대표 재량에 맡겨야
이날 협의회장들과 이사조합장들은 ‘내년 결산시 경영이 정상화됐다고 판단되면 그 후년에 추진하자’는 것과 ‘추진안과는 상관없이 축산경제 대표의 재량에 맡겨야 한다’는 것으로 이견을 보이긴 했지만 현재의 자회사 안이 잘못됐다는 점에는 의견일치를 봤다.
정대근 중앙회장의 외출로 상호 의견교환을 하지 못한 조합장들은 축산경제대표실에서 재차 축협중앙회 노조의 단식과 시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자회사 안의 대폭적인 양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축협중앙회 노조와 일선축협의 자회사안 반대는 표면상으로는 합병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처럼 보이지만 내면에는 농협중앙회의 개혁방향이 균형적이지 못하고 왜곡돼 있다는 점과 개혁의 당초 목적에 반하는 결론을 도출했다는 점 그리고 그 과정에서 아직도 농업의 정서로 축산을 재단하려 한다는 불신이 뿌리깊게 드리워져 있다.
농협중앙회가 자체 개혁을 위해 조직 운영한 ‘신경영 사업단’의 당초 안에 따르면 목우촌 자회사안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았고, 오히려 광역시 지역본부의 통합문제가 삽입돼 있었는 데 중앙회장의 입김으로 삭제되고 농업부문의 조율 과정에서 자회사안이 대신 부각됐다고 축협중앙회 노조는 주장한다.
▲ 적자 발생되면 가차없이 정리
여기에 농·축협 통합이후 적자의 잣대로 축산사업장이 패쇄된 사례들을 지목하면서 축산경제부문의 대표적인 경제사업인 목우촌을 자회사 하는 이유에 대해 겉으로는 중앙회 슬림화니 일반 업체들과의 경쟁을 통해 체질을 강화해야 한다고 내세우고 있지만 경영기반이 확실하게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자회사는 적자가 발생할 때 가차없이 정리하겠다는 의도로 밖에 설명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또 하나 조직 개편과 정원 조정(안)을 마련하면서 경영위원회에 상정될 때까지 농업분야에서의 사전 조율을 거치고, 축산경제와는 아무런 논의가 없었다는 것은 통합 이후 직원들에게 화학적 통합을 부르짖은 행위 자체가 거짓이었다는 증거라는 것이다.
앞에서는 문화·기능적 통합을 내세우고 뒤에서는 조직적으로 축산을 따돌리는 행위에 일선축협 조합장들까지도 공분을 느끼고 있는 대목이다.
▲ 철회될 때까지 끝까지 투쟁
일선축협 조합장들은 서울지역의 제 1금융권과의 경쟁을 위해 서울지역본부 내에 4개의 영업본부를 신설하는 등 신용사업 중심의 조직운영을 강구하는 것과 축산경제의 마지막 경제사업인 목우촌을 자회사하는 것을 비교하면 도대체 개혁의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축협중앙회 노조가 이 문제에 노조의 사활을 걸고 있는 것도 바로 같은 맥락이다.
명찬동 위원장은 “축산을 경시하고 협동조합의 기본이념을 망각하는 자회사안이 철회될 때까지 노조를 총동원해서 끝까지 싸우겠다”며 삭발식을 갖고 무기한 단식에 들어갔다.
이와 관련 협동조합 내·외부에서는 현재 쌀 문제로 농민들이 극도로 민감해 있는 상황에서 목우촌 자회사 안을 내 놓아 농협중앙회 내부까지 ‘개혁-반개혁’ 논란에 빠지게 되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 기자명 권민
- 입력 2005.11.23 10:00
- 수정 2015.06.22 16:39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