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 노량진수산시장은 제철을 맞은 숭어류를 중심으로 활발한 장세를 형성했다.
@···지난주 활어는 1만4041kg이 출하됐다.
이같은 물량은 전주보다 5000여kg 늘어난 것으로 숭어류의 출하가 활발했다.
감숭어는 전주보다 1000여kg이 늘어난 일평균 5000∼6000여kg이 꾸준히 반입됐다.
kg당 중품이 3천7백원으로 전주 절반수준.
참숭어는 kg당 1만1700원.
광어 자연산 kg당 중품은 3만4300원, 양식산은 1만8000원 으로 전주보다 소폭 오름세.
지난주는 특히 한동안 출하가 주춤했던 돌가자미가 1000여kg이 반입, kg당 중품이 1만7700원에 거래.
@···대중어종은 2만3670여짝이 출하.
전주보다 9천여짝이 늘었다.
반입물량 부족으로 전주 강세를 형성했던 갈치와 고등어의 시세는 안정세로 돌아섰다.
고등어 14kg 32마리들이 한상자 중품이 3만8500원, 오징어 8kg 20마리들이는 1만원에 거래.
전주 8만6000원의 고가를 형성했던 갈치는 4kg 10마리들이 한상자 중품이 2만7000원으로 평월수준 가격대를 회복했다.
일본산이 주류를 이뤘던 명태는 지난주 1000여kg이 출하.
4kg 16마리들이 한상자 중품이 1만4700원에 거래.
전어의 출하도 활발. 가을이 제철인 전어는 일평균 1000여상자가 출하, 3∼4kg들이 한상자가 최고 5천원대에 거래.
@···본격적인 행락철을 맞아 패류의 출하와 매기가 활발해졌다.
지난주 출하량은 3만1160여짝.
전주에 비해 무려 1만여짝이 늘었다.
매기도 살아나 전반적인 시세는 강세를 형성했다.
바지락 18kg 한자루 중품이 3만3300원에 거래, 전주보다 6000원 오름세를 형성.
그동안 국내산이 달려 중국산이 주로 거래됐으나 지난주는 인천, 안면도 등지의 연근해산이 봇물 출하돼 중국산은 거의 전무.
제철을 맞은 활꽃게는 아직 본격적인 출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kg당 최고 2만8000원대를 형성.
"
- 기자명 농수축산신문
- 입력 2000.04.12 10:00
- 수정 2015.06.29 00:01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