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산업 제도개선과 관련 현 농림부안으로는 전국단위 수급조절 체계 구축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강성원 강성원우유 회장은 지난 1일 안성 한경대학교에서 열린 ‘우유소비 촉진 및 원유수급 관리제도 개선방안’에서 “정부 안이 전국단위 수급조절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아래 만들어졌으나 유업체 직송농가를 인정하고 집유조합별 유업체 직거래 시도를 하는 것은 결국 지속적 감산과 낙농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회장은 “유업체와 가공우유 조합, 낙농진흥회가 정하는 제각각의 쿼터를 조합이 통합 행사하고 조합단위별로 수급조절을 시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원유 매매가격과 수량은 단위조합과 유업체 사이에서 거래토록 할 것이 아니라 집유조합 전체 대표조직과 유가공업체 전체 대표 기구간에 거래토록 해야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다만 낙농위원회 설립은 우유 산업 관련단체 협력체계 구축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우유소비 확대방안 개발 추진을 위해 필요하다며 오히려 제도개선 작업 확정 전에 설립돼 이를 주도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또 “전국단위 수급조절체계 구축과 이를 통해 낙농산업 발전방안을 찾는 데에는 무엇보다 낙농가들의 단결이 중요하다”며 “유업체 직송 농가들도 이를 절감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서울우유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기자명 장두향
- 입력 2005.12.05 10:00
- 수정 2015.06.28 22:22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