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축산 발전을 위해선 유기축산의 계열화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영현 농협중앙회 축산연구소 안성목장 유기축산팀장은 건국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가 지난 12일 건대 새천년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 ‘무항생제 축산물의 생산 기술과 전략’ 주제 추계 학술심포지엄에서 유기축산 시범사업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유기축산 발전방안으로 생산원가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유기축산 계열화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유기축산의 계열화 도입은 사료공동 수급을 통해 일반사료에 비해 2배이상 높은 유기사료값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고 축산물 공동판매로 직·간접경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란게 김 팀장의 설명이다.

그는 “이같은 점을 감안해 이미 일부 백화점 등 유통업체에서 유기축산물 생산농가 계열화 추진을 검토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김 팀장은 이외에도 정부에서는 축종 및 규모별 유기축사 표준 설계도를 제시하고 유기축산물 인증심사 항목을 좀더 구체화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유기축산물 인증 심사담당자들이 축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날 김 팀장이 밝힌 안성목장에서의 유기축산 사양관리 특징은 관행 축산과 비교해 호흡기 질병 발생 비율이 적고 가축의 질병 저항력이 증진되며 무제한 급이시 사료의 기호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점이다.
1인당 사육가능규모도 작고 추가사육 시설 또한 필요하다.

그는 그동안의 시범사업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유기축산에 대한 경제적인 권장 사양체계로 육계의 경우 여름철 특수를 겨냥한 삼계용을, 산란계는 초생추 입식부터 유기축산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