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산업의 발달과 학교·기업체의 단체급식 규모가 확대되면서 원재료인 농축산물의 시장은 매년 그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그 식자재 시장이 국내 농산물의 새로운 판로라고 단언하지 못하며 수입농산물의 또 다른 창구라고 규정할 수도 없다.
국내 농산물과 수입농산물이 뒤섞여 유통되고 있으며 식자재 시장의 규모가 최근 5년 사이 10조원에서 12조원으로 급증한 가운데 중·소 식자재 업체들이 난립하면서 시장의 규모 파악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국내 식자재 시장의 규모와 원재료의 유통시장의 현황을 알아본다.
# 식자재시장 얼마나 늘었나
국내 푸드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매력적인 시장은 식자재 유통시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국내 식자재 유통시장 규모는 2000년 10조2950억원에서 2001년 10조8560억, 2002년 11조3610억, 2003년 11조9050억, 2004년 12조4380억원으로 매년 증가됐다.
2004년 식자재 유통시장에서 외식업체의 규모는 9조7040억원으로 전체시장의 78%를 차지해 압도적인 시장규모를 보였으며 단체급식시장은 2조7040억원으로 전체시장의 22%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2004년 외식업체 시장 규모 중 연매출이 5000만원에서 5억원이상의 중규모 식당의 시장규모가 5조3480만원으로 전체 식자재 시장의 43%에 달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연매출 5000만원 이하인 소규모 식당의 시장규모는 1조7800억원을 차지해 전체 식자재 시장의 14%를 차지했으며, 연매출이 5억원 이상인 대규모 식당은 1조6430억원으로 13%, 체인식당이 9630억원으로 8%를 차지했다.
이밖에 급식업체는 위탁급식업체가 1조3500억원, 직영급식업체가 1조3540억원으로 각각 11%의 시장규모를 차지했다.
# 수입농산물의 새로운 판로인가
“수입 냉동채소류를 식자재업체들이 사용하는 이유는 원료 가격이 국내산 보다 저렴한 반면 품질 수준도 가격에 비해 준수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농산물의 가격이 급등하는 시기에는 중·소규모의 식자재 납품업체들이 채산성을 맞추기 위해 중국산 냉동 채소류를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국내 대기업인 A식자재업체 농산물 매입바이어의 이야기다.
학교 급식 납품용 식자재를 제외하고는 외식산업, 호텔, 산업체 단체급식에서는 구매단가 절감을 위해 중국산 냉동 농산물의 구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일반적으로 양파의 경우 국내 양파가격이 가장 폭등하는 2~3월에 특수를 누린다.
전년도산 보관 양파가 소진되고 조생종 햇양파가 출하되기 일보 직전인 2~3월에 양파는 평균가격보다 3배 이상 오르기 때문에 식자재로서의 국내 농산물 매입은 어렵기 때문이다.
당근이나 브로콜리 등의 농산물도 국내 시장가격이 오르면 수입량은 급증한다.
이밖에 축산물의 경우는 수입육을 사용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다.
특히 돼지고기는 2003년 6만톤이 수입됐으며 2004년 10만8000톤이 수입돼 1년만에 55%나 증가했다.
축산물 매입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축산물 가격이 워낙 고가로 형성되다보니 식자재 원료의 단가를 맞추기 힘들다”며 “이같은 상황에서 수입 축산물의 비중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 냉동 농산물 얼마나 들어오나
국내에 냉동채소류로 들어오는 주요 냉동 채소류들은 고추, 마늘, 양파, 당근, 고사리, 죽순, 송이버섯 등이다.
aT(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냉동 고추는 2004년 7만8000톤이 수입돼 전년인 4만9000톤보다 두배 가량 늘었다. 2004년 냉동 고추의 수입 금액은 3491만6000달러어치 수입돼 지난해보다 60% 늘었으며 지난해 10월까지 4만522톤이 수입됐다.
냉동마늘은 2004년 2만6921톤이 수입돼 전년인 2003년보다 64% 늘었으며 지난해 10월까지 1만7783톤이 수입됐다.
냉장마늘은 2004년 2만3207톤이 수입돼 전년보다 44% 늘었으며 지난해 10월까지 1만1395톤 수입돼 꾸준히 증가됐다.
냉장 양파와 당근은 국내 가격이 급등하는 시기에 맞춰 물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냉장양파는 양파 국내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던 2003년 냉장양파 수입물량이 7만6304톤 수입됐으며 2004년에는 3만2135톤 수입됐다. 지난해 10월까지는 3만7880톤 수입됐다.
냉장당근은 2004년 수입물량이 급증했다. 2003년 3만5663톤 수입됐으나 2004년 6만1002톤으로 두배 가량 급증했다. 지난해 10월 5만8212톤의 당근이 수입됐다.
이밖에도 냉동·냉장 농산물의 수입물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냉장·냉동 농산물의 관세기록<
- 기자명 박희진
- 입력 2006.01.04 10:00
- 수정 2015.06.26 18:02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