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미 FTA(자유무역협정)가 구체화되면서 농축산업계에 치명적 타격을 우려한 농축산단체들의 반발도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의 지난달 18일 신년연설을 시작으로 외교통상부가 2일 무역센터에서 ‘한·미 FTA 추진 공청회’를 개최하는 등 정부의 한·미 FTA 추진은 가시화되고 있다.

전국한우협회와 대한양돈협회는 이 같은 정부 움직임에 대해 “한·미 FTA는 지금까지 다른 나라와의 FTA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농업과 농민의 희생이 담보돼야 한다”며 “한·미 FTA가 불가피하다면 이득을 보는 산업에서 기금 등을 조성해 농업회생에 쓰일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국한우협회는 “외통부의 공청회가 농민들이 참여하기 어렵게 명절이 끝나자마자 이른 시간에 개최한다는 것은 의도적으로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막기 위한 술수로 밖에 볼수가 없다”며 “부득이 FTA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면 피해당사자인 농민단체 등과 충분한 사전검토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양돈협회도 미국과의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을 위한 공청회 개최를 즉각 중단할 것을 주장했다.

양돈협회는 최근 성명을 통해 “한·미 FTA 체결은 지금까지의 다른 나라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농업과 농민의 커다란 희생이 담보돼야 하며 농업계가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며 “졸속 날치기 공청회 개최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