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관련단체 대표자들은 정부가 미국과의 FTA 협상 추진을 즉각 중단하지 않을 경우 지방선거와 연계한 정권퇴진 운동 등 한·미 FTA 협상반대의 강도를 높여 나기기로 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지난 7일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정부의 한·미 FTA 협상과 관련 대표자 긴급 조찬회의를 갖고 ‘한·미 FTA 협상저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한·미 FTA 협상저지 운동에 돌입키로 결의했다.

축단협 대표자들은 이날 26개 축단협 소속 단체 모두가 비대위 구성원이 되고 한우·양돈·낙농·양계 등 4개 생산자단체장을 공동대표로 관련단체와 연대를 비롯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투쟁방안을 수립키로 했다.

특히 각 단체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실무집행위원회’를 구성해 한·미 FTA가 축산업계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등을 체계적으로 마련키로 했다.

또 한·미 FTA 협상저지를 위한 향후 투쟁일정 등을 협의하고 결과를 비대위 대표자 회의에 상정 의결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축단협 대표자들은 이날 비대위 구성후 성명을 통해 “미국과의 FTA 협상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지난 2일 외교통상부의 공청회는 농민의 참여는 물론 농민을 대변할 토론자 배정조차 무시한 채 명문확보만을 위한 요식적인 공청회로 허탈함과 울분을 금할 길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FTA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사전에 피해당사자인 농민단체등과 충분한 사전검토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정부와 농민간 조정의 장을 마련하는 등 최대한 사회적,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축단협 대표자들은 미국과의 FTA 협상 즉각 중단 등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지방선거와 연계한 정권퇴진 운동 등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국한우협회도 지난 6일 이사회를 열고 한·미FTA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관세를 철폐시켜 한우산업에 치명타를 안겨줄 수 있는 만큼 1000만인 서명운동 등 미국과의 FTA협상 반대 운동을 펼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