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돼지고기의 경쟁력 확보나 소비자의 신뢰구축을 위해서 돼지고기에 대해서도 이력추적시스템 도입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양돈수급안정위원회가 지난 15일 농협중앙회 2층 소회의실에서 개최한 조사연구 결과발표회에서 최승철 건국대학교 교수는 “돼지고기의 생산·유통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생문제의 신속한 원인규명과 조치를 통해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력추적시스템 도입이 양돈분야에서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돼지고기 이력추적시스템 정착에 대해 그는 “현재까지 돼지고기 이력추적시스템과 관련된 연구와 정책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각계 전문가를 정기적으로 초청해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해 봐야 한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다만 이 제도를 국가단위나 농장단위로 할 것인가 업계 자율과 의무적 등 접근방안에 대해서는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자율적 시스템으로 운영될 경우 기업의 비용부담이 커지는 반면 의무적으로 시행될 경우 정부의 예산 편성에 따른 비용부담 문제와 관련기업의 도덕적 해이문제도 예상되는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 개체별 돼지 이력추적시스템을 최초 발의한 부경양돈농협도 시험연구에 소요되는 부담 가중으로 인해 조합 자체 여력으로는 사업추진이 곤란한 실정이다.

최 교수는 이에 따라 “의무적 도입시 시장환경이나 기업환경에 따른 특수성을 인정하고 각 상황에 맞는 시행방안을 마련하거나 단계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면 효율적인 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대해 이재식 부경양돈농협 조합장은 “개체별 이력추적시스템 도입은 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사항이지만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많다”며 “현재는 오는 3월부터 농장단위 이력추적시스템을 도입해 나갈 계획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