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광우병 검역 시스템의 허술한 체계가 또 다시 제기되면서 농림부가 미국측의 해명과 보완대책을 요구해 주목되고 있다.
농림부는 미 농무부 감사관실에서 미국내 광우병 쇠고기 검역 시스템에 대한 감사결과가 허술한 것으로 나온 것에 대해 미국 측에 해명과 보완대책을 지난 9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감사결과는 한·미 쇠고기 수입재개 관련 협상이 끝난지 20일도 되지 않은 지난 1일 미 농무부 감사관실에서 발표된 것이라 파문이 예상된다.
강기갑 의원실이 제공한 지난 1일 미 농무부 감사관실의 미국내 광우병 쇠고기 검역 시스템에 대한 감사결과 발표자료에 따르면 광우병 위험소에 대한 예찰이 미흡하며 SRM 제거 관리가 부적절한 광우병 검사 방법 개선을 지적했다.
특히 2004년 6월~2005년 4월 감사대상 식육처리시설 12곳중 2곳에서 총 29마리의 주저앉는 소를 식육처리했음을 지적했다.
이 가운데 상처등이 원인으로 확인된 9마리를 제외한 나머지 20마리의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보고서는 육안검사시 전체 마리수에 대해 검사를 해야 하나 대개 5~10%의 추출검사에 그쳤던 사실도 지적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광우병 위험물질 제거가 적절히 이뤄지는지 여부도 확실치 않은 것으로 발표됐다.
그러나 허술한 광우병 검역 시스템에 대한 미국내에서의 이같은 지적은 처음이 아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해 2월 미 의회 회계감사원보고서, 8월 미 식품안전청의 작업장 광우병 규정준수 점검 및 미 농업부 감사관실 보고서에서도 광우병에 대한 관리시스템이 허술한 것으로 지적된 바 있다.
지난 14일 국회 농해수위 농림부 업무보고에서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이 이에 대해 질의하자 박홍수 농림부 장관은 “지난 9일 미국측에 해명과 보완대책을 요구해놓은 상태”라고 밝힌 것으로 참석자는 전했다.
강 의원이 또 “이같은 사실이 나타난 만큼 미국 쇠고기에 대해 일본처럼 수입중단 조치를 내려야 하지 않느냐”는 질의에 “미국측의 해명과 보완대책에 대한 답변이 오는대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