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산물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책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8일 농협서울지역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농식품신유통연구회 11차 토론회 「농식품 전자상거개 현화과 과제」에서 토론에 나선 배문열 칠곡홍화농장 대표는 『농가에 컴퓨터 보급률이 30%를 밑돌고 있고 읍면지역까지 고속인터넷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등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지원할 제도적 뒷받침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또 『신용카드 수수료와 택배이용료가 너무 비싸 전자거래 활성화에 발목을 잡고 있다』며서 『통신요금의 차별화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영창 서울대 교수도 『전자상거래에 대한 분명한 수익모델이 요구된다면서 『농산물전문 쇼핑몰을 고집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 농산물은 대형쇼핑몰의 구색상품이며 다양성을 갖춰야 비용을 낮출수 있을 뿐아니라 정부가 쇼핑몰을 운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주제발표에서 박주석 경희대 교수는 『농산물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유통정보 공유를 통한 생산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B2C(기업_소비자간 거래)보다는 B2B(기업-기업간 거래)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윤용 농림수산정보센터 전자상거래팀장도 『소비자의 신뢰성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가진 B2C보다는 B2B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고 밝혔다.김대수 scoop@aflnews.co.kr
"
- 기자명 김대수
- 입력 2000.05.04 10:00
- 수정 2015.06.28 23:53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