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합총량제를 주요 골자로 하는 정부 낙농정책에 진흥회 농가들이 문제를 제기한 것에 대해 낙농관련 조합장들은 어떤 의견을 갖고 있을까.

대다수 조합장들은 진흥회 조합부터 실시되는 제도 개편이후 조합 유업체간 계약량 축소로 진흥회 농가의 개인쿼터만 조정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관련 대책은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만 그보다 농가와 조합이 의견을 규합하고 전국단위 수급조절체계 이행을 위한 의지만 확실히 한다면 얼마든지 방지 가능한 것”이라는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업체와의 직결전환 시 개별농가 중심으로 개편이 되면 농가 거래교섭력 확보에는 더욱 큰 구멍이 생길 수 있으며 지금의 최선책은 조합별 총량제라는 것이다.

진흥회와 일반 유업체 납유농가가 같이 존재해있는 대구경북낙협의 손광익 조합장은 “전국단위 체계구축이라는 데에는 농가들이 이견이 없을 것”이라며 “유업체 직송농가를 제외하고 가공조합을 포함해 전체 낙농조합을 거쳐가는 물량이 전국 75%수준은 되는 만큼 전국단위 체계구축을 위한 농가 의지가 확고하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진흥회 농가가 주류인 조합과 유업체 직송농가가 많은 조합 등 각 조합의 납유처 특성에 따라 다른 의견을 하나로 규합하는 것이 전국단위 제도개편을 위한 최대 걸림돌이 될 것으로 꼽고 있다.

정세훈 낙농관련조합장협의회장은 “전국단위 체계를 구축하자는 뜻은 이번에 성명을 발표한 전북 진흥회 농가나 조합이나 같다”며 “낙농산업발전대책협의회 등을 통해 농가 거래교섭력과 원만한 우유수급, 낙농가의 권익보호를 위한 보완책이 어떻게 만들어지느냐를 봐가며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