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생산자단체(한우·낙농·양돈·양계·양봉·오리·양록)는 정부가 한·미FTA를 정당화하기 위해 분야별 설명회와 회의를 통한 농민단체 설득작업에 나서는 것은 형식적인 명분을 축적하려는 의도라며 한·미FTA 강행 중단을 촉구했다.
축산생산자단체들은 특히 정부가 일방적으로 주최하는 각종 회의와 토론회에 불참키로 합의하고 지난 25일 제2축산회관에서 농림부 주최로 열린 한·미FTA 축산부문 협의회에 불참했다.
결국 이날 설명회는 축산생산자단체들이 빠진 가운데 농협중앙회, 한국계육협회, 한국축산물위생처리협회, 낙농진흥회 등만이 참석해 반쪽짜리 설명회로 진행됐다.
이 같은 축산생산자단체들의 강경한 입장은 설명회 개최에 앞서 열린 한·미FTA농축수산비상대책위원회에서 합의된 정부가 일방적인 명분쌓기용으로 개최하는 각종 회의와 설명회에 불참하는데 의견을 같이한데 따른 것이다.
축산생산자단체들은 또 설명회에 불참한 채 한우협회 회의실에서 한·미FTA와 관련 대책을 논의한 후 한·미FTA 농축수산비상대책위원회와 보조를 맞춰가며 축산부문 대책을 요구하는 투쟁을 벌여나가기로 결의했다.
이승호 한국낙농육협회장은 “최근 무역협회에서 열린 한·미FTA관련 세미나 참석요청도 거부한바 있다”며 “한·미FTA비상대책위에 채널을 맞춰놓고 한·미FTA를 반대해야 된다”고 밝혔다.
남호경 전국한우협회장도 “제도적으로 국내 축산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제도적 안전장치가 마련된 상황이라면 한·미FTA 반대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전제하며 “그러나 현 정부의 축산정책을 보면 한·미FTA를 반대할 수밖에 없다”고 피력했다.
최영열 대한양돈협회장도 “한·미FTA가 되면 우리 농촌에서 축산부문이 피해가 클 것으로 모두들 예측하고 있다”며 “그런데 축산부문의 경쟁력을 키워주겠다는 의지가 전혀없다”고 토로했다.
최준구 대한양계협회장도 “한·미FTA에 대해 축산부문이 특히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정부는 말은 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은 아무것도 없다”며 “오히려 기존에 지원되고 있던 예산도 모두 가위질하고 있다”고 불편한 심기를 토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