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식품안전처를 신설한다는 결정에 대해 축산업계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의 표본”이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의 의견교환이나 토론 없이 여론에 밀려 마련된 이번 조치는 졸속한 처사이며 이 같은 결정은 식품안전에 더욱 혼란만 가져온다고 주장하고 있다.

축산업계는 “그동안 식품안전처가 없어 식품 안전사고가 발생했냐”며 “식품안전처가 신설되면 식품안전 사고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말이냐”고 반발하고 있다.

아울러 식품의 관리를 일원화 한다는 명목하에 8개부처의 업무를 통합하면서 마련된 식품안전처가 그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에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8개 부처의 분산된 업무를 새로운 부처에 옮겨 놓을 경우 오히려 그 기능과 역할이 복잡해져 자칫 더 큰 식품 안전사고를 불러올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정영채 대한수의사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축산물 가공업무 농림부 일원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식품안전처 신설 반대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전국의 축협조합장들도 축산발전협의회를 주축으로 식품안전처 반대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국 143개 조합장들은 생산자단체들과 연대해 ‘축산물 가공업무 농림부 일원화’를 골자로 한 식품안전처 반대 서명을 정부에 제출하는 것을 시작으로 행동에 돌입했다. 이들은 또 한·미 FTA 반대와 식품안전처 신설 반대 등 축산인들의 입장을 적극 관철하기 위해서는 실력행사도 불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오는 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축산관련단체협의회와 축산분야학회협의회, 전국축협조합장협의회 공동으로 ‘농식품 안전관리 심포지엄’을 개최해 의견을 취합, 정부와 국회에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남호경 축산관련단체협의회장(전국한우협회장)은 “정부가 밀어붙이기식으로 부처 신설에 나서고 있다”며 “범축산업계가 공동으로 국민과 정부, 국회를 상대로 설득과 함께 식품안전처 신설 반대운동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채 대한수의사회장은 “그동안 식약청이 제대로 관리를 하지 못해 발생한 안전사고가 마치 식품안전처라는 신설 부처가 없어 생긴 것 마냥 오해하고 있다”며 “식품의 안전관리는 전문성을 갖춘 부서에서 일괄성 있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영열 대한양돈협회장도 “선진국에서도 농식품에 관련된 업무는 농업식품국을 별도로 두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만 별도로 식품안전처를 두는 것은 세계화에 역행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승호 한국낙농육우협회장은 “급식업계에서 불거진 사고로 농축산 분야의 식품안전관리까지 문제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생산농장부터 관리돼야 하는 농축산물 안전성은 농림부로 일원 관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