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시대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음식점원산지 표시제 도입 등 시장차별화 대책과 생산기반과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대대적인 투자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국농민단체협의회가 지난 18일 한국마사회에서 개최한 개방대비 품목대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국내 축산물이 수입산과 차별화를 갖고 생산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이같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황선옥 소비자시민모임 이사는 “음식점원산지표시제를 쇠고기 뿐만 아니라 돼지고기, 닭고기까지 확대해야 한다”며 “특히 외식문화가 늘어남에 따라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국내 축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이 제도의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정선현 대한양돈협회 전무는 “분뇨처리비용의 증가, 사료비 급등, 질병악화 등 시장 상황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는 만큼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를 전면 재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이와 함께 후계인력 공급 시스템과 네덜란드 등 선진국의 교육프로그램이 함께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영찬 서울대학교 교수도 “경쟁력 있는 농가가 지속해서 축산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며 “농가들도 희생할 자세가 돼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기수 농수축산신문 편집국장은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생산자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시장 지향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며 “특히 외식산업 성장세와 맞물려 이들 업계와 공생·공존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돼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