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콜레라 근절을 위해서는 농가의 자율적인 방역의식 확립과 임상 수의사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0일 오후 경기도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돼지콜레라 방역정책과 근절방안에 대한 수의양돈포럼에서 정현규 도드람양돈농협 전무는 “일본의 경우 돼지콜레라 근절 정책과 관련해 예방보다는 박멸의 개념을 사용했다”며“이를 위해 농장 단위의 청정화에 노력했으며 자체적으로 민간보험을 적용하는 등 전체 양돈농가의 의식의 변화가 돼지콜레라 박멸에 중요했다”고 밝혔다.

정 전무는 또 “양돈수의사들의 적극적인 농가 관리 등 컨설턴트의 역할이 상당히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병한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수의연구관은 “정부가 국내 돼지콜레라 발생과 유행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검사하기 위해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있지만 예방접종 위반 농가수가 최근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분만 직후 초유 전 접종을 반드시 하는 등 돼지콜레라 예방을 위해 농가들의 의식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포럼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돼지콜레라 청정화사업의 청사진을 철저히 세워 조기에 청정화를 이뤄야 한다는 데 공감, 돼지콜레라 백신접종과 관련해 기존 생백신인 LOM을 대신한 차세대 유전자 조작 백신인 마커(maker) 백신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