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 신문1면을 뜨겁게 장식하면서 핫이슈로 떠 오른 미국산 쇠고기 검역.
양국간의 첨예하고 민감한 사항이 얽혀 있는 이 검역현장이 보도 될 때면 늘 서두를 장식하던 기관이 있다.

바로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국민 먹거리 안전과 국내 축산물의 안전, 나아가 동물보호까지 책임지는 이 기관, 과연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축산물의 털끝하나까지 세밀하게 살피고 있는 그들을 만나보고 검역원의 현장을 자세히 알아본다.



#검역원, 석·박사 수뇌부로 구성된 전국적인 조직망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하 검역원)은 1909년 수출우검역소를 시작으로한 국립동물검역소와 1911년 문을 연 우역혈청제조소가 통합돼 발족한 기관으로 내년이면 발족1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기관이다.

본원과 지원, 출장소의 조직체계로 609명 중 수의·연구직이 460명으로 75.5%를 차지하고 있으며 석·박사가 260명으로 모두 수의사면허를 소지한 전문인력으로 구성돼 있다.
이는 검역원 업무의 특성상 전문적인 지식이 바탕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달말 인력증원과 동물약품관리과 신설 등 확장계획까지 가지고 있어 업무체계와 조직망이 더욱 탄탄해질 전망이다.

그러나 최근 곳곳에서 활약상을 떨치며 ‘국민건강지킴이’의 ‘브레인’을 담당하고 있는 검역원의 우수함은 학위에서 나온 지식보다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우선하는 선험적 지식이 바탕이 된 직관임을 입증하고 있다.

#대한민국 축산물, 검역원이 책임진다.

미산쇠고기 검역으로 유명해진 검역원이 검역업무만을 전담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우선 검역원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데로 수출입 동물 및 축산물에 대한 검역·검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 광우병 등 해외가축전염병의 국내유입이 문제시되면서 이 검역 업무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더욱 세심하고 철저하게 수행하고 있다.

축산업에 가장 큰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각종질병의 방역업무도 검역원의 주요업무 중 하나다.
청정국으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그들의 노력은 시시각각으로 행해지고 있다.
국민먹거리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검역원은 축산물의 생산, 도축, 가공 및 유통을 거쳐 식탁에 이르기까지 안전이 확보되도록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의 정착 등을 통한 일관된 위생관리를 실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첨단수의과학기술 개발연구를 통해 축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국민보건 증진을 목적으로 연구사업을 하고 있으며 동물용의약품 검정 및 관리로 유통되고 있는 각종 동물용의약품의 인·허가 및 품질관리와 사후관리를 통해 국내 가축의 안전, 나아가 국민의 안전까지 지킴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최근 선진국과의 FTA에서 부각되고 있는 동물복지의 실현도 검역원의 주된 업무다. 동물보호 및 복지관련 사업을 통해 축산선진국으로 가는 길을 닦고 있다.

검역원을 통하지 않은 축산물이 우리의 식탁으로 올라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2007, 검역원 도약하다.
2007년 현재 국내 축산업의 현주소는 어떨까? 각계에서 쏟아지는 비관적인 축산업의 미래는 평생을 농장과 동물에 쏟아온 축산인들을 지치게 하고 있다.
FTA이후 펼쳐질 축산업의 미래를 위해 도약을 해야 할 시기다.

검역원은 새로운 시대를 위한 도약의 발판에서 축산인들의 음과 양이 될 전문지식과 기반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부루세라 등 악성 가축전염병 근절에 힘을 다하고 국경검역과 축산식품 안전관리, 현장 및 첨단연구 등을 통해 축산인들에게 지지대가 되줄 기반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책임지고 축산인들의 미래 버팀목이 될 책임이 있는 한 검역원의 하루는 25시간도 모자른다.

◆ 검역원, 이것이 궁금하다.

<검역검사과 Q&A>

Q:검역업무라고 하면 미산쇠고기 검역이 떠오른다. 실제로 검역·검사업무는 어떤 것인가?

A:쇠고기 뿐 아니라 전축종의 모든 수입육류를 비롯해 가공품에 대한 위생검사는 물론이고 산업용 가축피혁과 양털 등 수모까지 일반축산물에 대한 소독과 검역도 이뤄진다.
국경검역과 관련해 해외악성가축전염병 유입을 방지하는 업무도 우리의 주된 업무다.

Q:검역원이 유명세를 타면서 검역에 대해 일반인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은 없는가?

A:일반 소비자들은 미산쇠고기에서 아주 조그만 뼈만 나와도 위험하지 않은가 하고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지만 실제로 작은 뼈조각은 국제기구에서도 BSE(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