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원장 석희진·이하 기준원)이 중장기 발전계획을 마련하고 소비자의 식생활안전과 식품산업발전에 나선다.
기준원은 지난달말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 대처 △HACCP지정확대로 팜 투 테이블(Farm to Table) 조기구축 △지정업소의 질적 수준향상 및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창의와 혁신에 기반한 고객중심 기관운영을 중점 전략으로 한 2012년까지의 발전계획을 마련했다.
이를 토대로 올해는 성장기반 조성을 목표로 조직운영체계 개편, HACCP관리체계 확립, 정책기획기능 강화 부문을 중점 추진한다. 2011년에는 업무영역확대를 목표로 IT를 활용한 업무 효율화, 현장중심의 연구사업 수행, 컨설팅 운영체계 개선을 중점 추진하고 2012년에는 전문기관으로 위상확보를 목표로 선진화된 경영체계 정착, 팜투 테이블 HACCP구축, 국제교류 및 협력 강화를 추진한다. 전략별 주요 추진 계획을 알아봤다.
#HACCP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 대처
HACCP 정책기획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기획팀을 기획실로 확대개편 해 기획·조정기능을 강화하는 등 HACCP 정책개발 기능을 보강하고 자문단을 활용한 기관운영 및 정책과제 발굴을 활성화한다. 선진국의 HACCP동향 파악 및 운용에 대한 국외 우수사례도 발굴하고 CODEX, OIE 등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과의 교류도 강화한다. 발전된 국내 HACCP시스템을 주변 저개발 국가에 전수한다.
수요자 중심의 실용적 교육프로그램도 개발 운용한다. HACCP관련 기술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업종별, 축종별 표준 교육교재 개발 및 보급 등을 통한 HACCP 교육선도 기관으로서의 역할제고에도 힘쓴다. 정부로부터 축산물 위생교육기관으로 지정받아 위생교육을 병행, 민원인의 편의도 도모할 계획이다.
HACCP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컨설턴트 및 컨설팅업체 등록제 도입 등 HACCP컨설팅제도 운영체계를 개선하고 HACCP심사보조원제도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HACCP심사보조원제도는 HACCP 현장평가 인력부족 해소를 위한 것.
#HACCP지정확대로 Farm to Table 기반구축
단계별 HACCP 지정도 확대한다. 2012년까지 사육(농장)단계 HACCP 지정은 50%이상 확대하고 배합사료 공장은 10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집유업은 업체특성에 맞는 기술지원으로 소규모 업소HACCP지정 유도, 유가공장의 HACCP적용도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식육포장처리업은 현행 군급식, 학교급식에 HACCP적용업소 우대를 단체급식소, 300평이상 대형음식점으로 확대해 70%이상 HACCP지정을 확대 유도 할 계획이다. 식육가공업도 2012년 80%이상 HACCP지정을 확대하고 2009년 현재 HACCP지정이 5%미만인 축산물유통업은 2012년까지 30%이상 끌어올릴 계획이다. 2009년 현재 10%미만인 축산물판매업도 2012년 30%이상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지정업소 질적 수준향상 및 효율적 사후관리방안 마련
체계적인 HACCP심사업무 관리체계를 확립하고 규모별, 업종별 심사차별화를 추진한다. 난이도에 따른 심사차별화로 HACCP운영 수준을 제고하겠다는 것.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 인프라도 구축한다. HACCP관련 시험·연구조직을 현행 평가1국 소관에서 기획실 소관으로 개편하고 지정운영과 지정평가 기능을 분리운영해 조직내 교차검증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지역·권역별 찾아가는 기술상담센터 확대운영, HACCP운영 우수업체·농장 포상평가제 도입 등 HACCP 운용수준 향상을 위한 기술지원을 강화한다.
#창의와 혁신에 기반한 고객중심 기관운영
고객지원팀 신설로 민원인의 편익을 제공하고 민원접수에서부터 처리까지 각 단계별 처리상황에 대한 전화알림 서비스 제도를 도입한다.
또한 능력과 성과중시의 조직문화 조성 등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조직운영과 심사의 공정성 및 투명성 강화, 조직발전을 위한 책임있는 공직관 확립에도 힘쓸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