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 벼 재배 시범지역을 대상으로 전용 품종이 보급된다.

농촌진흥청은 지난달 30일 충남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에서 총체 벼 재배 및 이용에 대한 기술교육을 시작으로 올해 전국 4개 시범 지역 203ha 논을 대상으로 총체 벼 재배에 필요한 전용 품종 2320kg을 보급했다.

농진청은 총체 벼 전용품종 보급과 관련, 지난해 쌀 재고량 증대에 따라 생산 조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논 토양의 여건상 사료용 옥수수 재배보다 벼가 유리하다고 밝혔다.

# 총체 벼, 재배 쌀수급 조절·조사료 자급률 제고 기대
총체 벼 재배는 조사료 자급률 제고와 수입대체, 축산물 품질 고급화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농진청의 설명이다.

또 논의 형태와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쌀 생산조절 효과가 클 뿐 아니라 흉년 등 유사시에는 쌀 생산 용도로 즉시 전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날 종자배부시 △농식품부의 총체 벼 시범사업 추진 계획 및 조사료 생산·이용 활성화 대책 소개 △김명기 농진청 식량원 연구관의 총체 벼 전용품종 개발 및 재배기술 △김종근 농진청 축산원 연구관의 총체 벼 생산 및 이용 기술 등에 대한 교육도 함께 진행됐다.

#총체 벼 전용품종, 한우 일당증체량 9%가량 높아져
현재 국내는 녹양과 목우 2종의 총체 벼 품종이 개발돼 있고 일반 식용 벼에 비해 수량이 60% 이상 높으며 사료가치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축산과학원 연구결과, 총체 벼 전용품종을 한우에 급여할 경우 일당증체량이 7~9%정도 높아지며 이런 효과는 어린 가축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 논에서 총체 벼를 재배하는 것은 쌀 소득과 비교해 볼 때 200만원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는 간척지의 경우 임차료(80만6000원/ha)를 면제해주고 전용품종을 무상제공하며 사일리지 제조비 지원(3만원/톤)과 월동사료작물 재배를 통해 소득차액을 보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