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계, 정부 늑장대응 지적…소비위축 대책 요구




정부가 지난 5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 관계장관회의와 연이은 지난 6일 당·정 협의를 거쳐 일본 후쿠시마 주변 8개현의 모든 수산물에 대해 수입을 금지키로 하는 특별조치를 결정, 지난 9일부터 전면 시행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기존에 후쿠시마 주변 8개현의 50개 수산물에 한해 수입을 금지하던 것이 모든 수산물로 확대, 국내 유통이 전면 금지됐다.

하지만 이같은 정부의 대책을 두고 ‘늑장대책이 어민 피해만 키웠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일본 방사능 오염과 관련한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를 괴담으로 치부하고 안전하다는 말만 반복하는 사이에 국내산 수산물 소비위축으로 이어져 애꿎은 어민들만 피해를 입고 있다는 것이다.

김제남 의원(정의, 비례)은 지난 6일 논평을 내고 “일본산 수산물 8개현 수입금지, 일본 전역 수산물의 방사능오염 검사 확대 등의 조치는 뒤늦게나마 일부 진전은 있으나 여전히 방사능 오염 확산의 위협을 과소평가하는 미봉책에 불과할 뿐”이라며 “긴급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들은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금지’(38.3%)나 ‘전수조사 등 검역강화’(34.5%) 등 좀 더 확실하고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명확한 대책을 내놓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전병헌 의원(민주, 서울동작 갑)도 지난 9일 블로그를 통해 “정부는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수산물들에서 검출된 방사능이 기준치 이하라고 안심하라는 설명을 반복하고 있지만 국민들은 정부의 ‘말’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다”며 “정 국무총리는 국민들의 합리적인 의심마저도 괴담취급을 하고 억누른데 대해 사과하고 수입 수산물에 대한 종합대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수산업계 역시 정부대책이 수산물 소비위축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하루속히 소비자들이 납득할 수 있을만한 추가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수산업계의 한 전문가는 “국내 소비자가 섭취하는 수산물 중 일본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0.5%에 불과한데 이 때문에 어업인을 비롯한 수산업 및 관련산업 종사자가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며 “추석 이후 본격적인 소비성수기가 되기 전까지 방사능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를 잠재울만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다면 수산업계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