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테라젠이텍스바이오연구소 등 국내 24개 연구기관 55명의 연구자로 구성된 연구팀은 우리나라 근해에 서식하는 밍크고래를 차세대 시컨싱기술(NGS)를 이용해 염기서열 해독·분석에 성공했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밍크고래 유전체와 고래목의 수상생활 적응’이라는 제목으로 지난 25일(한국시각) 저명 학술지 네이쳐 제네틱스 온라인판에 게재된 이번 연구결과는 포유류인 고래의 저산소, 해수 등에 관한 해양적응 기작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저산소증이나 심혈관질환 등과 같은 여러질병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 중국 등 그동안 생물유전체 연구를 선도해온 국가들이 고래의 유전체 해독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거둔 성과로 앞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고래 분자 유전학 분야를 선도할 수 있게 됐다는 데 의의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임형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사는 “이번 논문은 고래류의 공통된 생리적, 형태적 특성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최초의 연구 결과로 앞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고래 유전체 연구를 이끌어 갈 기반을 마련한 성과”라며 “향후 해양 포유동물 생태계 전반의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