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계적 소비정책 마련·구체적 정보전달…소비촉진 도모 - 해수부 예산안, 가공산업 육성 등 생산·수급안정 집중
수산물 섭취나 소비 등 식생활과 관련한 연구와 홍보 모두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의 올해 예산안에 따르면 올 정책과 예산은 △식품산업의 육성·진흥 △수산물 유통·수급관리, 비축 및 방출 △수산물 가격안정대책 △수산물 가공산업 육성 등 대부분 생산이나 수급안정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국민들의 식생활과 관련된 예산이나 수산물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한 사업역시 ‘이달의 수산물 선정’이나 수산물 이력제, 수산물 원산지 표시제 등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어 수산물 식생활교육은 불가능한 상황이며 국립수산과학원의 연구개발 역시 연간 평균 1억원 정도로 일부 수산물에 대한 기초적인 영양분석만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상황은 수산물 소비촉진을 통해 어민들의 소득을 높여야할 수협 역시 마찬가지다.
수협은 최근 들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쿠킹클래스나 요리경연대회 등을 일부 실시하고 있지만 이를 위한 예산은 5000만~1억원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다. 그나마 이뤄지는 식생활 교육 관련 행사들도 연례적인 행사일 뿐 수협이 식생활 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선다고 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웰빙추세에 맞춰 식품의 영양소나 건강한 식생활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반면 수산물과 관련한 정보는 최소한의 수준만 제공하는 데 머무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농축산업부문에서 식생활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53억5000만원으로 식생활교육 전문가 협의회 구축, 식재료 실태조사 등 식생활 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식생활교육 및 체험지원사업, 식생활 교육 활성화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농협은 올바른 식생활과 국내산 농축산물 소비확대를 위한 ‘食사랑 農사랑’운동에 올해 50억원을 편성했다.
식생활 교육 뿐만 아니라 수산물은 영양분석 등에서도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영양분석을 검색하면 100g당 열량과 영양소 등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반면 수산물은 DHA가 풍부하다거나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이라는 다소 모호한 정보들만 제공할 뿐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수산업계에서는 수산물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사실상 일반적인 상식수준에서 호소할 뿐 수산물의 강점을 마케팅 포인트의 하나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강종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정책연구실장은 “사회구조와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는 다양해졌지만 수산물 소비에 관련한 정책은 이같은 변화에 맞춰서 발전하지 못했다”며 “수산물 식생활 교육을 위해서는 우선 수산물의 소비동향을 세밀히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탁명구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사무총장은 “노로바이러스나 일본 원전 오염수유출처럼 큰 이슈가 발생했을때 단순히 ‘수산물을 먹읍시다’라는 형태의 호소는 더 이상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지 못한다”며 “수산물 역시 우리 국민의 주요한 단백질 식량자원인만큼 체계적인 소비정책을 마련해 소비자들이 수산물을 가까이 두고 즐길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