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표는 정부와 농업기관, 지자체의 유리온실을 중점적으로 시공하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 설치한 유리온실 내부전경.

“식량안보 확립 등 세계적으로 먹거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시설원예 분야는 더욱 더 발전할 것으로 확신합니다. 또 시설원예농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온실산업 역시 주요해 질 것입니다.”

시설원예 산업은 앞으로 더 확대되고 발전할 것이라는 이승준 (주)세창산업 대표는 더불어 온실산업 역시 부각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 대표는 “멀지 않아 시설원예 채소들이 우리네 식탁을 채워 줄 것”이라고 강조하며 온실산업 발전을 예고했다.

# 정부·지자체사업 중심, 한국형 기술개발 ‘주력’

이 대표는 농업기관과 각 지자체, 시·도농업기술원의 유리온실을 중점적으로 시공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를 뒷받침하듯 현재 충남 서천군농업기술센터에 유리온실을 설치 중에 있으며 충북 괴산군에서 열리는 ‘2015년 괴산세계유기농산업엑스포’와 관련해 행사에 필요한 유리온실을 시공 중에 있다.

그는 “정부와 농업기관의 유리온실사업을 도맡아 하면서 기술이나 시공능력 등을 인정받고 있다”며 “더불어 한국형 온실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 대표는 한국형 온실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업체들과 함께 온실 설계, 시공 등 관련기술개발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그 결과 신기술을 개발, 현재 특허출원을 준비 중이다.

그는 “온실시설·자재의 상당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한국형 온실기술과 자재개발에 주력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 온실 종합적 ‘가이드라인’ 마련해야

이 대표는 온실산업의 도약을 위해서는 제도정비를 통한 온실기술·자재 기준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협회가 주도해 온실자재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온실설치에 사용되는 자재 기준이 없다보니 동네 철공소나 농자재 대리점 등에서 지역 내 비닐하우스를 짓고 있는 실정”이라며 “온실자재 기준 확립 등 제도정비로 부실 온실시공을 줄여 시설원예농가에 제대로 된 온실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는 공법과 기술에 대한 기준도 정립해 종합적인 온실시공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시공능력평가는 업체가 보유한 장비, 기술자, 전년도 사업실적, 특허여부 등 외형적인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앞으로는 어떤 공법과 자재를 사용했는지 등에 대한 내부적 기준 마련으로 온실시공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 온실 비전문업체 난립, ‘손톱 밑 가시’

“온실을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온실시공을 할 수 있단 말입니까.”

이 대표는 현재 금속구조물·창호공사업 면허로 통폐합된 온실설치공사업 면허 부활을 강조하며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온실시공 비전문업체 난립을 지적했다.

면허가 하나로 되다보니 농가나 지자체, 중앙정부 차원의 온실사업에 철물공사업이나 창호공사업 업체들이 참여해 입찰경쟁을 벌인다는 것이다. 특히 비전문업체가 입찰은 받았지만 온실시공능력이 없다보니 이를 다시 온실시공업체로 하도급을 주는 행태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각 지자체에서 온실사업공고가 나오면 일반적으로 700~800개가 넘는 업체가 입찰에 참여한다”면서 “이처럼 비전문업체가 난립하다보니 온실전문업체가 입찰을 받는 경우는 1%도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또한 이 대표는 정부 관리차원에서 면허를 통폐합한데는 일부분 공감 하지만 국내 시설원예산업과 온실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온실설치공사업 면허를 조속히 분리해 이와 같은 손톱 밑 가시를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를 위해 협회와 정부, 유관기관 등의 활발한 논의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