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사후 관리와 백신 접종에 대한 실효성이 국정감사에서 도마에 올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지난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를 갖고 축산부문과 관련해 각종 질의를 펼치며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유승우 의원(무소속, 이천)은 “재질 특성상 토압으로 인한 파손 위험이 높은 저장조 관리 등 구제역 매몰지 사후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해야한다”면서 “매몰지 인근 항생제 유출 검사 등 농민이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지적에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구제역 매몰지 4800개 관리와 관련해 항생제 유출 검사 문제는 환경부 검사항목에 포함시키도록 협의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와 함께 이인제 의원(새누리, 논산·계룡·금산)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농장 내 밀사를 방지해야 한다”며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차원에서 구제역 백신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윤명희 의원(새누리, 비례)은 “정부의 구제역 항체형성률이 뻥튀기 됐을 가능성 있다”고 주장하며 “2013년 돼지 항체형성률이 평균 60.4%이고 세종시 42.6%, 경기 52.3%, 울산 57.4% 등 낮은 곳이 많다”고 밝혔다.
박민수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진안·무주·장수·임실)은 “지난 3년간 돼지 구제역 백신항체 양성률이 60%에도 못미치고 올 상반기 돼지 구제역 백신항체 양성률은 51.3%에 불과해 돼지 구제역 백신접종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며 “구제역 바이러스가 변형돼 현재 공급되는 백신이 사실상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 백신의 효과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농식품부 국정감사에선 원산지 표시위반과 육계 계열화사업 등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됐다.
홍문표 의원(새누리, 홍성·예산)은 “지난 5년간 농축산물 원산지 표시를 위반해 적발된 건수가 총 2만297건으로 이중 돼지고기 적발건수가 4458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배추김치 4034건, 쇠고기 2715건, 쌀 1342건 등을 차지했다”면서 “농축산물의 원산지를 속여 학교급식에까지 납품하고 있다”고 시정을 요구했다.
황주홍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장흥·강진·영암)은 “닭 사육농가의 불만 사항으로 사육수수료 75.9%, 병아리 품질 63.7%, 사료품질 49.1% 등을 나타냈고 닭 계열화사업에서 만족 비율은 0.9%뿐으로 계열화사업의 전면적 점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밖에 경대수 의원(새누리, 증평·진천·괴산·음성)은 수입쇠고기의 등급 표시 방법의 위법성을 따졌고 김승남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고흥·보성)은 4년 연속 발암물질 닭꼬치 제조 중국작업장의 영업과 관련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검역의 공정성 등을 제기하며 집중 질타했다.
- 기자명 홍정민
- 입력 2014.10.08 10:00
- 수정 2015.06.28 02:15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