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신 효능에 대해 농가의 불신을 야기한 정부에 대한 비난과 함께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백신의 국내 생산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지난 9일 전체회의를 열고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주요 현안인 구제역 및 AI(조류인플루렌자) 방역대책을 보고 받았다.
이 자리에서 경대수 의원(새누리, 증평·진천·괴산·음성)은 “현장에선 항체 형성율의 차이와 100% 항체형성에도 불구하고 구제역이 발생해 백신 효능에 대한 민원이 많음에도 정부측 답변이 부실하다”며 “특히 구제역 발생한 곳의 58%가 대기업 계열농장인데 육질이나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의도적 백신접종을 꺼려서 항체 형성이 낮은 것 아니냐는 원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박민수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진안·무주·장수·임실)도 “항체가 형성이 됐는데도 구제역이 발생한 것에 대한 논란이 가장 큰데 지난해 7월 분명히 프로바이틱연구소가 문제된 백신으로 변형 막을 수 없다고 했음에도 안이하게 대응한 것은 정부의 책임을 벗어나기 어렵다”고 질타했다.
이와 관련 안덕수 의원(새누리, 인천 서구·강화군을)은 “현장의 축산농가들은 백신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데 이같은 불신을 없애주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적합한 백신이라는 점을 확신시켜주기 위해선 백신의 국내 생산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사전에 국내 백신 생산시의 효과와 생산성 검증, 인력충원 등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규성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김제·완주) 역시 “100% 항체 형성율임에도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분명 새로운 상황에 직면한 것”이라며 “조기에 국내 백신 개발을 위한 충분한 예산지원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종배 의원(새누리, 충주)도 “정부가 2011년 국내에서 백신을 생산키로 한 이후 그동안 정책적으로 한게 무엇이 있냐”고 꼬집고 “내년에도 구제역이 발생 안한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에선 계속되는 질병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여야 의원들의 질타에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농가의 자발적인 백신접종을 유도하고 올바른 백신접종을 위한 교육·홍보를 확대해 나가겠다”며 “특히 돼지의 항체 형성율을 높이기 위해 비육돈 접종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오는 8월 설립예정인 백신연구센터를 통해 한국형 백신개발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기자명 박유신
- 입력 2015.02.17 10:00
- 수정 2015.06.28 02:32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