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진청, 한국형 온실모델 설정 2020년 보급 목표
-조기실용화…생산성 향상 기여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의 조기실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마트팜 기술이란 시설원예작물의 ICT융합기반 생육 최적 환경설정 등 정밀관리를 통해 농산물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 및 에너지절감 등의 효과를 창출하는 첨단기술을 말한다.
농진청은 영세한 규모 등 열악한 농업여건을 극복할 수 있는 한국형 스마트 온실모델을 설정, 효과적 개발과 신속한 보급을 위해 3단계로 구분해 2020년 최종 완료할 계획이다.
한국형 스마트 온실모델 설정은 시설유형별 ICT적용요소를 고려, 단동비닐(45만6000ha)은 보온재·천·측장을 현장에서 개폐하는 수준으로 내외부 센서, 환기·시비·냉난방 장치 등의 설치를 고려하고 원격감시 등 농작업 편의성향상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연동비닐(7만5000ha)의 경우 내외부 환경센서와 환기장치 등을 자동제어하는 수준으로 토양 및 작물정보 센싱, 시비냉난방 제어를 중점 고려하게 된다. 유리온실(587ha)은 복합환경제어 시스템을 운용, 기존 장치시설과 호환성 확보 등 기술자립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온실 모델 개발은 기술적용 범위에 따라, 1세대 모델은 재배 편이성 제고에 목적을 두고 현재수준에서 재배시설에 당장 적용 가능한 농업 및 일반산업분야 ICT에 적용한다. 2세대 모델은 생산성 증대를 목적으로 2~3년 내에 기술개발이 완료되거나 적용가능한 혁신적 ICT 기술로 구성키로 했다. 3세대 모델은 글로벌 산업화를 목적으로 핵심기술 확보와 모델검정을 통해 한국형 스마트팜 고도화를 202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농진청은 이를 위해 ‘농업ICT 융합 연구과제 기획 TF(테스킹포스)팀’을 지난해 9월 구성, 영농현장 ICT적용농가와 기업체의 애로사항 중심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농업인 교육·홍보·성과제고를 위해 ‘ICT 기반 스마트팜 시범농장’을 도별로 육성, 스마트팜 온실구조, 생육자동측정과 분석, 측정빅데이터 활용방법, 전문가 컨설팅 및 성과붆석 등을 실시하고 있다.
실례로 ICT를 적용한 전남 화순의 토마토농장 측정데이터 활용 컨설팅과 작목 생육단계별 자동측정데이터 활용방법을 교육했다. 우선 토마토 생육과 화방, 수확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과 시설토마토 생육 및 환경설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에 따른 분석데이터를 활용, 시설환경 정밀제어를 통해 수량성은 40% 향상됐으며, 에너지는 35%가 절감, 편리성은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승용 농진청 차장은 “한국형 스마트팜 차세대 기술개발을 활용한 과학영농실현으로 행복한 농업·농촌을 구현해나가겠다”며 “농업여건에 맞는 스마트팜 차세대 모델개발로 생산성향상에 기여하고 스마트팜 플랜드 수출을 통한 농산업체 활성화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